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데이터
인포메이션
뉴스
자료
보도
information
d라이브러리
"
정보
"(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층간소음 바로 알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흐르는 소리, 파도 치는 소리…. 자연의 소리는 일정한 음과 리듬이 있는 음악이나
정보
가 있는 말이 아니어서 소음으로 들리지요. 하지만 우리가 평상시에 듣고 지내는 일상적인 소리이기 때문에 귀에 친근하게 들려요. 자연의 소리를 들으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잠이 살살 오거나, 하고 있던 일에 ... ...
테니스 판도 바꿀 스마트 라켓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1970년대 나무 라켓으로 11차례나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며 세계 최고의 테니스 선수로 불리던 비외른 보리. 그러나 그도 신소재 알루미늄과 그라파이트로 만든 라켓이 ... 비슷한 ‘테니스 센서’를 선보였다. 테니스 라켓에 이 센서를 붙이면 스윙 속도와 테니스 타구
정보
등이 기록된다 ... ...
“망막에 심은 작은 반도체가 인공 눈의 핵심”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과학동아 서포터스인 대전 전민고 과학동아리 ‘싹’의 학생들이 2월 28일 서종모 서울대교수를 찾았다. 서 교수는 2008년까지 대학병원에서 안과전문의로 일하다 전기
정보
공학부 교수로 변신한 것으로 유명하다.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대해서 다 똑같은
정보
를 가지고 있는 것이 설명된다. “강릉에 같이 있던 두 전령이
정보
를 공유하고 ‘별에서 온 그대’의 도민준처럼 각각 평양과 전주로 공간이동을 한 후에(즉 급팽창을 한 후) 한양으로 각각 출발했다”고 박석재 연구위원은 설명했다.급팽창이론의 또 다른 장점은 거대한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경악을 금치 못했다. 눈앞에 나타난 건 사람이 아니라 수조 속의 돌고래였기 때문이다. ‘
정보
’를 ‘해킹’이라는 방식으로 다룬다는 것만으로는 돌고래와 사람을 구분할 수 없었던 것이다.네트워크에서 인간과 사물을 구분할 수 없을 때 인간은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며,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흙의 성질을 배우고 연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정보
통신기술과 결합된 지능형교통시스템을 연구하는 등 융합학문으로 진화하는 추세입니다.하나뿐인 지구를 보존하는 학문환경공학은 대기·수질·폐기물·토양·해양에서 일어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 ... ...
홍자의 친구 사귀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부쩍 늘고 있다. 폐쇄형 SNS는 기존의 SNS와 달리 자신이 정말 원하는 친한 친구들끼리만
정보
와 일상을 공유한다. 그 중 하나인 ‘데이비’는 특히 친구 수를 특정하게 정해 놓아 눈길을 끈다. 이용자가 맺은 친구 중에서 교류가 잦은 친구들 50명만 선정해 사진을 공유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런데 왜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인식할 수 있는 세상과 사람이 인식하는 세상은 다르다. 컴퓨터는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정보
들만을 인식하고 명령을 내리지만, 사람은 불명확한 상황 속에서도 판단을 내려야 한다.예를 들어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나서 점차 가까워지면 조금씩 속도를 줄인다’라는 인식과 판단은 컴퓨터에게는 ... ...
개인
정보
보호, 새로운 암호체계가 답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수사관들이나 검사가 수학과 과학을 기반으로 수사를 할 수 있도록 서울대 수리
정보
과학과에 디지털 포렌식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어요.앞으로 수학을 기반으로 한 암호 산업의 활약을 기대해주세요!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그 중 호킹은 스카이프를 통해 8분 가량 화상 발표를 했으며, 지난 1월 이를 토대로 ‘
정보
보존, 그리고 블랙홀 기상예보 (Information Preservation and Weather Forecasting for Black Holes)’ 라는 제목의 짧은 글을 논문 형식을 빌려 발표했다. ‘호킹이 블랙홀이 없다’고 주장했다는 최근의 보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