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징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속성
d라이브러리
"
특성
"(으)로 총 4,15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일정지역에서 적의 습격을 감시하고 방어해야 하므로 고속정과 호위함의 중간적인
특성
을 갖추고 있다. 전함과의 전투 임무도 수행하지만 주로 연안을 경계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고속정은 3백t 이하의 소형함정에 유도탄 함포, 어뢰를 탑재하고 고속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연안에서 적 함정을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만들 수는 없을까? 그 가능성을 점쳐보기 위해 지금까지 알려진 인간 시각의
특성
은 어떤 것이 있으며, 이를 반영한 인공시각 연구 결과에 대해 살펴보자.조명 달라도 정확히 색상 구분인간의 시각기능에는 조명의 밝기와 색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물체의 밝기와 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두가지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발령되는,최근 10년간 가장 건조한 날이 계속되고 있었다.특히 강원지역은 지역적
특성
으로 봄에는 전국의 어느 지역보다 건조한 날씨가 계속돼 봄철에 산불위험지수가 90을 넘는 일이흔하다.옛날 우리 조상들이 바싹 마른 쑥을 비벼 부싯돌로 불을 붙였던 데서 알 수 있듯이 마른풀은 작은 불꽃에도 ... ...
디지털 가정으로의 초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많건 저녁잠이 많건 간에 모든 이를 똑같은 시간에 맞춰 일하게 한다. 각 개인의
특성
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최근 재택근무자가 늘어가는 추세지만 일부 업종과 업무에 한정돼 있다. 만일 미래 가정의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가 보편화되면 대부분 업종의 일이 가정에서 충분히 소화될 ... ...
고인돌과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구해야 한다. 고인돌로 쓴 돌을 잘 살펴보면 켜를 이루고 있는데 대개 잘 쪼개지는
특성
을 지닌 편마암이다. 당시 사람들은 이미 잘 쪼개지는 돌의 성질을 알고 골라썼다는 얘기다.큰돌을 구하려면 큰 바위를 결에 따라 일정한 간격의 홈을 파고 그 홈에 나무를 박아 물을 붓고 며칠 밤을 지내거나 ... ...
2. 모두가 제각각 은하의 모습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은하분류가 보다 정확해지면 은하가 갖는
특성
들이 이론적으로 더 잘 규명될 수 있고, 나아가 우주의 진화를 설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바 없이.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은하들의 분포를 보면, 균일하고 등방적인
특성
이 쉽게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은하의 분포는 비균일하고 비등방적이라고 느끼게 된다. 그렇다면 우주는 정말 비균일하고 비등방적일까? 하늘 전체에 퍼져 있는 매우 먼 천체나 빛의 분포를 살펴보면 이에 ... ...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열성형질이 나타나기도 쉽다. 부모 중 어느 한쪽만 열성형질을 가졌다면 자식대에는 그
특성
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같은 열성형질을 가진 동물끼리 번식하면 그 자손들에게서는 열성형질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진다.1970년대에 요세미티 국립공원 등 미국 남서부 지역에 방사된 큰뿔산양(bighorn ... ...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역할도 한다. 이런 활성 산소들은 단백질의 산화 또는 환원에 관여함으로써 단백질의
특성
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근래 일산화탄소처럼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일산화질소도 중요한 신경 전달물질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인체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메커니즘이 있지만 ... ...
한국인의 눈이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파병시키지 말라는 결론을 내렸다.봄의 한낮 기온이 영하 40℃우리 신체의 여러 가지
특성
으로 미뤄볼 때 우리의 조상은 추운 곳에서 살며 적응해 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지금도 지구상의 가장 추운 곳에 사는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이 북방계 몽골리안들이다. 북극 지역의 에스키모들, 시베리아에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