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9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정률 60% 눈앞…“핵융합실용화 인류운명 가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소장은 “10명을 키워 10명을 다 합격시켜야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현행 제도로는 기존
한계
를 극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버나드 비고 ITER 사무총장도 “핵융합 발전의 성공 여부는 인적 자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카다라쉬=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 ...
치매 조기 진단, 한국인 표준뇌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18.10.09
의사의 판단에 의존하는 만큼 초기에 발생하는 미세한 손상은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
가 있다. 연구단은 5년간 60세 이상 성인 1만여 명을 대상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정밀검진을 실시한 뒤, 그중 정상으로 판별된 1000여 명의 뇌를 MRI로 촬영해 연령대별 남녀 표준뇌지도를 만들었다. 이후 ... ...
토마토도 프로바이오틱스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치료하는 물질을 만드는 미생물이 있다’는 사실은 증명했지만, DNA 정보만으로는 활용에
한계
가 있었기 때문이다. ‘물증’을 찾으려는 의도도 있었다. 하지만 오직 게놈 정보만 알고 있다 보니 실제로 그 미생물을 찾아 배양하는 일은 해변에서 유리조각을 찾는 것만큼 어려웠다. 연구팀은 1년에 ... ...
MIT 출신 수학자-경제학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경제학에 '혁신'과 '기후변화' 결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조건이 새로운 기술이나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가 없다는
한계
가 있었다. 그런데 1990년, 로머 교수가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을 발전시켜 내생적 성장이론(Endogenous Growth Theory)’을 발표하면서 대세를 뒤집었다. 미국 시카고대에서 수학을, MIT와 시카고대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 ...
기후변화 논란에 대한 과학의 명쾌한 답변 "시간 낭비하면 효과 없고 돈만 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비용을 더 지출해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1.5도로 기온상승을 묶어두기 위한
한계
감축비용은 2도때 보다 3~4배 올라간다. 2015~2050년 동안 에너지 부문의 투자규모는 연간 9000억 달러로 저탄소 기술과 에너지 효율에 대한 투자는 5배 증가하는 반면 화석연료 생산 및 전환에 대한 투자는 60% 줄어들 ... ...
한국자기학회장에 홍순철 울산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홍 신임회장의 임기는 내년 1월부터 2년이다. 울산대에 따르면 홍 교수는 성능 향상에
한계
를 보인 반도체 램(RAM)을 대체할 자성체 램 물질과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이 있는 영구 자석 물질을 탐색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한국자기학회는 자기의 기초와 응용에 관한 학문 발전과 기술 ... ...
[2018IAC결산]日 존재감,中 세(勢)과시…불꽃튀는 동북아 우주경쟁(下)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우주 임무를 빠짐없이 진행하며 성과를 내고 있는 중국 사이에서 아직은 어쩔 수 없는
한계
다. 국가적으로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투자와 연구 개발을 하고, 장기를 발휘할 수 있는 연구 분야를 찾아 주도하면 국제협력이 보다 활발해지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회 마지막 날 독일 현지 중학생을 ... ...
신약-라식수술-光통신… 올해 노벨상 기초과학 경제효과 수백조원
2018.10.05
소자는 광자(光子)가 가진 고유 진동수와 공명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만 작동하는
한계
가 있었다. 송 교수는 “광학 집게 덕분에 광자를 잡고 내부에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으로 광자의 진동수를 조절 가능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밝혔다. 화학상을 받은 유도 진화 기술은 원하는 기능을 가진 ... ...
올해 노벨상 받은 광학집게로 신개념 광다이오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방식으로 만든 광다이오드 소자는 자신과 맞는 공명주파수 대역에서만 작동하는
한계
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진은 열린-양자역학계 이론을 도입했다. 송 교수는 “모든 총에너지가 보존되는 세계를 닫힌 역학계라 부른다”며 “약 20년 전에 나온 열린-양자역학계 이론은 에너지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교수)은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결국 컴퓨터 성능의
한계
에 부딪혀
한계
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 차원 더 높은 양자컴퓨터의 도입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양자컴퓨터는 고성능임에도 부피와 전력사용량이 적지만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에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