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스페셜
"
때
"(으)로 총 6,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경험자들 코로나19 증상 약하게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코로나19에 걸렸을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는 기침이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증상이 약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이 과거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이끌었다. 샤르팡티에와 다우드나 교수가 처음 박테리아의 면역체계를 연구할
때
만 해도 새로운 형태의 항체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기대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이들은 생명의 코드를 쉽게 바꾸는 분자 도구를 발견했다. ... ...
노벨 화학상 수상한 50대 여성 화학자들, 그들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살
때
하와이로 옮겨 가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됐다고 한다. 다우드나 교수가 13세일
때
아버지가 그에게 DNA를 발견한 제임스 왓슨이 쓴 ‘이중 나선’을 선물했다고 한다. 1985년 미국 포모나칼리지를 졸업한 후 1989년 하버드의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예일대 교수로 부임한 후 2002년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미국과학아카데미 등이 주도한 국제위원회는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입증될
때
까지 유전자 교정 배아를 임신에 활용해서는 안된다는 보고서를 채택하기도 했다. 이 국제위원회는 허젠쿠이 교수의 연구가 공개되며 설립됐다. 인간 배아 유전자 교정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는 게 위원회의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주장한다”면서 “이 효능은 1세대 유전자 가위인 ‘징크 핑거’로 얻은 결과이기
때
문에 크리스퍼를 활용하면 유전자 교정치료 효과가 더 탁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스퍼는 암을 정복하는 새로운 무기로도 주목받는다. 6월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진의 암 치료를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전병 치료의 경우 크리스퍼로 인간 배아를 교정하게 될
때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식량 작물의 경우 유전공학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자변형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다우드나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분야에 돌아가면서 준다”며 “아쉽게도 작년에 재료소재 화학분야에 상이 돌아갔기
때
문에 수상 가능성이 희박할 것으로 봤다”고 말했다. 이어 “논문 인용 지수가 최상위에 달해 노벨상 수상에 근접해 있는 연구자들이 한국에 저를 포함해 4명이 있다는 것은 한국 과학기술의 수준이 그만큼 높이 ... ...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쌓아올렸다는 데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대에 부임하면서 박사과정
때
하던 연구 주제를 버리고 새로운 주제를 찾아 당시 막 태동하던 나노입자 합성 연구를 했다. 그는 “이번에 주목 받은 대표 업적인 나노입자 균일 합성법인 ‘승온법’과 이것을 대량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한 ... ...
쟤는 증상없는데 왜 나만 중증?…코로나 환자별 증상 다른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B세포가 항체를 생성하도록 돕는 본연의 역할이 아닌 B세포를 오히려 사멸시키기
때
문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가 있기 전 기존 연구에서도 이른바 ‘독성 TFH’가 B세포를 사멸시킨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같은 연구결과와 유사한 연구결과가 단일세포 RNA-시퀀싱을 통해 규명된 것이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올해의 블랙홀 등 모두 천체물리 분야에서 선정되었다. 이는 그동안의 관례에 비추어 볼
때
이례적이기도 하지만 최근 천체물리 분야에서의 과학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는 면도 있다. 중력파, 다중신호 천문학 등 향후의 발전이 더 크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연구자들의 관심과 분발을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