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4,385건 검색되었습니다.
돈 흐름에 감춰진 물리법칙 금융수학
과학동아
l
200104
머물러 있는 것이다. 금융수학은 확률론, 편미분방정식과 수치해석, 통계학, 컴퓨터
공학
등을 결합한 첨단 학문이면서 동시에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적 과제인 금융경쟁력 제고의 기초가 된다. 이 글을 읽은 독자가 금융수학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이 분야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
바이오벤처 전략의 교과서 유진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104
바이오벤처에 접할 기회를 가졌다.“1987년부터 1년 반 동안 영국의 더럼대학에서 생물
공학
전반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이때 매주 한번씩 바이오벤처를 방문했습니다.”영국 연수를 마친 뒤에는 미국 나스닥 상장 바이오기업인 셀진사와의 조인트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의 ... ...
②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단장 박종오
과학동아
l
200104
‘잘 나갔던’ 볼라이 박사다. 박단장은 자신의 가이드를 했던 볼라이 박사에게서 기술
공학
자가 갖춰야 할 성실함을 배웠다고 한다. 거대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자세는 바로 성실함이라는 것.‘마지막 1초까지 최선을 다하자’는 자세를 삶의 모토로 삼고 있는 박단장은 1987년 귀국 ... ...
③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이강인
과학동아
l
200104
유학 시절 초기에 같은 분야에서 학문적인 교류를 나눴다고 한다. 서울공대 금속
공학
과에서 석사까지 마친 이단장은 미국 유타대에서 금속 분리 분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이단장이 자원 재활용 분야의 연구에 확신을 갖게 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사람은 1990년에 당시 LG금속 공장에서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104
비교 분석을 위해 의사결정나무 등을 이용해 분류모형에 적용하기도 한다.국내 전
공학
자 손에 꼽을 정도이처럼 응용분야가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수준일까. 국내데이터마이닝이 활발히 도입되는 것에 비해 기술이나 연구수준은 상당히 낙후돼있다. 물론 신문지상을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04
게놈 연구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빠르게 늘고 있다. 게놈 연구를 포함한 생명
공학
관련 정부 예산은 최근 3년간 매년 30% 이상씩 증액돼 올해는 3천2백80억원에 달한다. 이런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미국이나 일본의 1개 대기업의 연구비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사실 예산이 대폭 늘어난다고 ... ...
생체모방
공학
과학동아
l
200104
35억년이란 오랜 시간 동안 지구에 살아온 생물. 하찮아 보이는 생물에도 놀랄 만한 과학이 살아 숨쉬고 있다. 생물은 주변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자신을 다듬어 왔기 때문이다. 생물이 갖고 있는 뛰어난 능력을 찾아 한수 배우려는 노력, 생체모방
공학
을 접해보자.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04
실크를 만들려는 노력은 당시의 기술수준 때문에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사실 생체모방
공학
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정교한 작업이 가능해진 것은 아주 최근의 일이다. 인간의 상상력에 걸맞은 물건을 만들 수 있는 도구들이 최근에서야 개발됐기 때문이다 ... ...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
과학동아
l
200104
조기에 진단·치료하는 기술과 신약을 개발하는 일을 최종목표로 삼고 있다.21세기 생명
공학
의 핵심이 될 인간게놈연구는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생노병사의 원인을 밝히며 질병문제해결, 수명연장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선진국의 인간게놈프로젝트 중간결과가 주목받고 있는 이때 이 사업단은 한국형 ...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104
유학하는 동안 귀감이 됐던 대표적 인물을 꼽아 달라는 질문에 그는 카네기멜론대 화학
공학
과의 전명식 교수를 언급했다. 박사후 연구생 과정을 밟는 동안 지켜볼 수 있었던 전교수는 아침 9시 출근해 밤 12시에 퇴근하는 생활을 반복하면서 젊은 사람들 못지 않은 경쟁력을 갖춰 나갔다고 한다.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