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지름이 3.5km에 불과한 소행성입니다. 이렇게 작은 까닭에 잘 보이지 않아 1991년이 돼서야
발견
됐습니다. 1991년은 머큐리가 세상을 떠난 해이기도 하지요.메이는 음악을 할 때도 물리학도의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무슨 소리냐고요? 이 노래를 들어보시죠! 퀸의 네 번째 앨범 ‘어 나잇 엣 디 ... ...
[과학뉴스] 호박에 갇혀 있던 공룡 깃털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공룡의 깃털은 압축되거나 비틀려 있어 3차원으로 재구성하기 어려웠다”며 “이번
발견
으로 공룡의 깃털 구조와 진화에 대해 더 상세하게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같이 거친 표면을 만지는 느낌이나 피부를 탁탁 건드리는 듯한 느낌을 주는 자극 패턴도
발견
했다.타일러 교수의 연구 결과가 기대되는 이유는 또 있다. 손의 감각이 뇌로 전달되는 ‘언어’를 이해하면, 손의 각 부분을 자극할 수 있는 특수 장갑을 만들어 실제로 사물을 만지지 않고도 만지는 듯한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인간과 가장 밀접한 동물이 된 것이다. 지질학에서는 시대를 대표하는 특정 종의 뼈가
발견
되는 지층을 기준으로 시대를 나누는데, 닭뼈가 있는 지층을 ‘인류세’라고 재정의하자는 주장까지 나왔다. 과학적으로 인간이 살았던 때를 증명하기 위해 인간의 뼈로 명확히 조사하는 것이 옳은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광대원숭이상과와 안경원숭이상과에 속한 9개 속에서는 현재까지 동성애가 한 차례도
발견
되지 않았다.여기까지만 본다면, ‘동성애 행위와 고등영장류로의 진화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지는 않을까’라는 합리적인 의심을 하게 된다. 영장류와 관련된 대부분의 행동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선호하는 ... ...
Part 4. 맨틀 속 신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 심상헌 교수팀은 지진파를 분석하던 중 이상한 현상을
발견
했어요. 맨틀의 가장 아래쪽 부분에 지진파가 갑자기 느려지는 지역이 있었던 거예요. 지진파가 느려진다는 건 주변과 성분이 다른 물질이 있다는 것을 뜻하지요.이상함을 느낀 연구팀은 지구 내부 전체를 ... ...
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전기가 들어온 지 올해로 딱 130년이 됐습니다. 400년 전 길버트가 처음으로 마찰전기를
발견
한 이후로, 수많은 학자들이 발명하고 연구한 결과 한반도에도 전기가 들어오게 됐지요. 한반도에 전기가 들어온 뒤 전등이 빛을 발했고, 전차가 다니기 시작했으며 하늘에 전선도 여기저기 걸리기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많이 걸렸다. 그런데 국내 과학자들이 감염병 진단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해, 초기
발견
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구재형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은 빅데이터기술을 적용해 RNA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을 정밀하고 빠르게 진단하는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사파이어로 이루어진 구름이 대기를 덮고있는 행성이
발견
됐다.영국 워릭대 천체물리학그룹 데이비드 암스트롱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망원경을 이용해 ‘HAT-P-7b’라는 거대한 가스 행성의 대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행성의 가장 밝은 지점이 시간에 따라 ... ...
Part 6. 특이점 없애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양자역학적 원리(불확정성 원리. 운동량과 위치 정보가 비가환 대수의 관계에 놓임)가
발견
되면서 전자가 원자핵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한계 반경이 정해졌기 때문이다. 우리의 시공간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특이점으로 소멸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제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