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꿰뚫는 ‘촌철살인’ 정신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과학적 사실은 과학 이론의 혁명적 전환을 이룬다. 아마도 현대 과학에서 가장 급속히
발전
하고 많은 연구자가 참여하고 있는 연구 분야가 생물학, 특히 분자생물학 분야일 것이다. 분자생물학의 주 연구 대상은 유전 정보를 갖고 있는 핵산이라는 물질이다. 지금부터 약 60년 전 제임스 왓슨과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칼을 썼지. 초기에는 기술이 나빠서 수술을 하다 사람이 죽기도 했지만, 점점 기술이
발전
해 오래 사는 사람이 늘어났단다.▲ 미라 (마르키연구소)2009년 8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를 본 친구들은 미라가 이집트에서만 발견되는 건 아니라는 사실을 알 거야. 안데스 지역에서도 미라가 있는데, 그 ... ...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전쟁 가운데 포로로 있을 때 연구한 것이라니 수학은 시기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전
하는 학문 같아.몰바이데도법 1805년 독일의 천문학자 몰바이데가 만든 지도법이야. 몰바이데도법으로 만든 지도는 면적의 비율이 실제와 같다는 장점이 있지. 그리는 방법은 적도에 해당하는 긴 지름과 극과 극을 ... ...
작전명령 ③ 최선의 방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제2차 세계대전이야. 참혹한 전쟁이었지만 이 전쟁을 치르면서 새로운 응용수학이 많이
발전
했어. 현대 전쟁에서는 과거와 달리 엄청난 두뇌 싸움이 필요해지면서 수학이 전쟁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한 셈이지. 특히 최소의 피해로 최대의 성과를 얻는 작전을 짜는 문제, 많은 군사 물품을 효율적으로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같은 점과 차이점을 생각하며 공부해 보세요! 이러한 활동이 여러분의 사고를 한층 더
발전
시킵니다.중학교 2학년 지학사 191쪽 중학교 2학년이 되면 도형의 정의를 정확히 알고 도형의 성질을 논리적인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 여러 도형 사이의 관계와 도형의 여러 가지 성질도 알고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사람들이 나일론을 사기 위해 여러 시간 줄을 서 기다릴 정도였다.이 후 합성섬유는
발전
을 거듭했고, 최근에 나온 아라미드와 케블라 섬유는 옷을 넘어 항공기와 장갑차, 방탄복의 재료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똑똑해야 뜬다! 스마트 재료선조님들의 공로는 충분히 인정합니다. 하지만 ... ...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지구 중력이 미치는 가장 먼 곳까지 올라간다. 이때 발생한 전자빔은 작은 규모의 원자력
발전
소가 생산하는 전력만큼이나 에너지가 크다. 이에 대해 플레크러그 교수는 “우주에서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 입자가 쏟아지고 동시에 강한 번개가 칠 때 입자가속기와 유사한 환경이 형성된다”며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사람들의 생활에도 도움이 되고, 또 과학도들의 노력도 헛되지 않게끔 하는 일은 과학
발전
에 중요한 일 같구나. 그러려면 어떤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지에 대해 과학 기술자들과 대화가 가능할 정도로 과학지식을 쌓아야 하겠지?” N학생은 자신이 직접 기술을 개발하지는 않지만 개발된 기술을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충분한 데이터가 있어야 좀 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관련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
하면서 비용이 크게 저렴해졌기 때문에 무모한 계획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현재 자원자 1만 6000명이 등록을 마쳤다. 지금까지 얻은 데이터를 이용한 논문도 나오기 시작했다. Q. 데이터뿐 아니라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실제로 입체적인 물체의 표면을 만들어낼 수 있다.체적형 디스플레이에서 한 단계 더
발전
한 방식은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의 최종 목표라고도 할 수 있는 홀로그램이다. 레이저 빔을 렌즈에 통과시켜 구면파 형태로 만들고, 구면파를 물체에 반사시킨 빛과 거울에 평행하게 반사시킨 빛을 합치면 두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