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나타내지요. 사람의 눈은 파장이 380~800나노미터(nm, 1nm는 100만 분의 1mm)인 가시광선만 볼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그런데 카메라가 깊이를 감지한다고요?네, 3차원 센서를 이용해 카메라와 사물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 구분한다는 뜻이에요. 원근감을 이용해 입체 사진을 찍는 원리지요. ...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정했다. 공을 닮은 구조물이라는 점과 풀러의 애칭(버키)을 더해 ‘버키볼’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렀다.수학적인 아이디어로 분자 구조를 증명풀러의 지오데식 돔은 정삼각형에서 출발한다. 커다란 정삼각형을 합동인 작은 정삼각형으로 잘게 쪼갠다. 그 다음 이것을 구에 내접시키고, 잘게 쪼갠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간의 거리, 얼굴을 여러 구역으로 나눴을 때 각 구역 안에 있는 점의 위치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신체의 특징은 ‘특징벡터’로 나타낸다. 벡터는 방향과 크기에 관한 정보를 모두 담고 있다. 목소리도 특징벡터로 나타내 인증에 쓸 수 있다. 목소리에서 높이, 어조, 리듬, 강세 같은 습관적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블록 캐릭터들이 밑으로 쏟아지는 게임을 만들었어요.“이제 이 게임에 스토리를 입혀볼까요?”게임에 스토리를 더해 보라는 오 교수님의 말에 이경림 학생은 “위에서 도토리를 잘 떨어뜨려서 밑에 있는 다람쥐에게 먹이는 게임으로 만들 수 있어요”라고 답했어요. 교수님은 “반대로 위에서 ...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있는지 찾아보는 것이 어떨까요? 아직까지 아무도 발견 못했던 새로운 귀화식물을 찾아볼 수 있을지도 몰라요~!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을 발견한다면?환경부는 인간과 생태계에 영향을 끼치는 귀화식물 11종을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지정해 관리한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을 야외에서 만나면 ... ...
- [수학뉴스] 세계 인구 증가의 원동력은 아프리카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보고 있습니다. 가임 여성 1인당 출산한 아기의 수의 비율로 나타내는 총 출산율로 볼 때 아프리카는 지난 10년간 이 비율이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1970년대의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그리고 카리브해 지역 세 곳의 출산율 감소와 비교해 약 1/4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윌모스는 20~64세 인구를 ... ...
- 시력 좋은 아리랑 3A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소개됐던 두바이 인공섬인 ‘팜 쥬 메이라’ 지역과 ‘부르즈 알 아랍 호텔(위 사진)’을 볼 수 있어요. 호텔 주변에 줄지어 있는 파라솔과 바다의 물결까지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지요.아리랑 3A호는 적외선 센서를 갖고 있어 적외선 영상을 찍어 촬영 지역의 온도 차이도 확인할 수 있어요. 적외선 ... ...
-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파토사우루스와 브론토사우루스 화석을 비교해 보았을 때, 너무 비슷해서 다른 종으로 볼 수 없다고 결론 지었어요. 그리곤 앞서 발견된 ‘아파토사우루스’라는 이름을 공식 명칭으로 정했지요. 그 이후로 무려 112년 동안 ‘브론토사우루스’라는 제 이름으로 불릴 수 없게 됐답니다.어떻게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무 것도 보이지 않기 때문이에요. 우리가 태양을 바라보면 너무 밝아서 순간 아무 것도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예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에게 이런 밝은 불빛은 치명적이랍니다.반면 사람처럼 낮에 활동하는 동물은 상이 맺히는 망막 부위에 원추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어요.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지구를 왜곡하지 않고 크기만 줄여 놓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눈에 지구의 절반만 볼 수 있다는 게 단점이었다. 게다가 곡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재는 것도 문제였다. 지구 전체를 평면에 나타낸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지구가 투명한 공이고, 그 중심에 불빛이 있다고 생각해 보자.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