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냉동인간을 다시 깨우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지요. 사람을 냉동시킬 때 파괴된
세포
를 고칠 수 있는 나노기술이 개발되어야 깨어날 수 있답니다. 냉동된 채로 미래로 가고 있는 냉동인간들. 그들은 깨어날 수 있을까요?따뜻한 봄을 기다리며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춥고 먹이도 없는 추운 ... ...
'개코'란 별명이 괜히 나왔겠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130㎠나 되고 후각
세포
도 2억 개가 넘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후각상피 면적이 3㎠, 후각
세포
가 약 500만 개인 것과 비교해 보면 개의 후각이 얼마나 뛰어난지 알 수 있지요. 갓 태어났을 때 보지도 듣지도 못 하지만 유독 냄새는 맡을 수 있는 개. 냄새맡기는 개의 일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이랍니다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달팽이관에 전달하지요. 달팽이관에 전달된 음파는 달팽이관 안의 코르티기관의 털
세포
에서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어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된답니다.신호는 물론 노래 연주까지플라스틱 팬파이프!너희는 신호만 보내니? 난 노래도 연주해. 도레미파솔라시도 모두 연주 가능한 팬파이프로 신호도 ... ...
높이 나는 새가 정말 멀리 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있지요? 물론 높이 올라갈수록 볼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멀리 볼 수 있답니다. 특히 시
세포
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새들은 인간보다 더 멀리 자세히 볼 수 있겠지요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 인자는 실은 역위(逆位)이며, 그 존재가 재구성(再構成)을 감소시키고 또 설사
세포
학적인 재구성이 일어나도 유전학적인 재구성이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수혈할 때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혈액이 적합한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시험 수혈 전에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긴 전극을 두 개 뽑아
세포
에 대고 살짝 빨아들이면
세포
막이 전극 사이에 고정된다.
세포
막에 있는 이온채널에 전류가 흐르면 이를 증폭해서 모니터로 볼 수 있다. 펄스가 발생하면 채널이 열려 전류가 흐른 것이고, 펄스가 없으면 채널이 닫힌 것이다. 이 원리를 이용해 오 교수는 캅사이신채널의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백혈구 생성조직이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질환 소위 혈액의 암(癌)이며 골수에서 유약한
세포
가 계속 생성되어 건강한 사람의 경우 7,000 전후의 백혈구 수가 10여만에서 수십만에 달하게 된다 1850~1930 독일의 물리학자 실레지아의 그라이비츠에서 출생했고 베를린 대학 부속 천문대에 근무한 후 자기 ... ...
황우석 줄기
세포
,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지원을 취소할 것으로 알려졌던 미국 아동신경생물학 치료재단도 11월 17일 “세계줄기
세포
허브가 생명윤리 규정을 지킬 것으로 믿는다”며 “이 시점에서 협력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21일에는 이수영 벤처기업가, 방송인 김미화씨, 국회의원 장향숙·진수희씨, 오세훈 변호사 등 사회 ... ...
신경
세포
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공급하는 신경교
세포
(glial cell)를 없애는 실험이다. 신경교
세포
를 일부만 제거하면 신경
세포
는 남아있지만 부작용 없이 시냅스를 차단할 수 있는데다 원 상태로 복구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복구가 가능한 뇌 손상기법을 이용하면 시간개념을 필요로 하는 높은 수준의 인식기능도 밝힐 수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않았다. 이들은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생각을 인정받기 위해 많은 연구를 했다. DNA가
세포
분열 과정에서 어떻게 배분되고 수정과정에서 어떻게 합쳐지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면서 DNA는 유전물질로 합당하다는 결론이 지지받았다. 또 DNA가 생각보다 복잡하다는 것이 알려졌고 유전암호를 지정해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