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삼투현상’ 때문이에요. 바닷물에는 흔히 소금이라고 부르는 염화나트륨을 비롯해 여러 ‘염류’들이 포함돼 있어요. 이렇게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들을 모두 합쳐 ‘염분’이라고 불러요. 전세계 바닷물의 평균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안녕하세요. KAIST에서 그래프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최일규입니다. 저는 그래프이론 중에서도 ‘컬러링’에 관심이 있어요. 그래프의 꼭짓점과 변을 규칙에 맞게 분할하는 것이죠.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문제가 4색 정리예요. 서로 연결된 꼭짓점은 같은 색으로 칠하지 않으려면 최소 몇 가지 색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24시간 탐색하면서 제2의 지구를 찾는 시스템이다.이충욱 천문연 변광천체그룹 책임
연구원
팀은 우리은하 중심부를 약 9분 간격으로 조밀하게 관측한 결과, 미시중력렌즈현상에 의해 2시간 반 동안 일시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현상을 검출했다. 중력렌즈현상은 보이지 않는 천체의 중력에 의해 별빛이 ... ...
[과학뉴스] 고래의 짝짓기를 엿보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암컷의 질과 수컷의 음경이 서로 가장 잘 맞는 최적의 위치가 있음을 확인했다.오르바흐
연구원
은 “짝짓기 때 생식기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며 “해양 포유류 생식기의 진화과정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종을 보존하기 위한 인공수정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보다가 면역 연구를 시작하게 됐습니다.”보이틀러 교수는 1980년대 뉴욕 록펠러대 박사후
연구원
으로 있던 때를 회상했다. 쥐 연구를 통해 종양괴사인자(TNF)가 면역에 영향을 준다는 단서를 잡았지만, 연구는 순탄치 않았다. 아무 성과를 내지 못한 날들이 이어졌고, 동료나 선배로부터 ‘다른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찾는다.바이올린을 좋아하는 진 하디스티는 미국 라이스대학교 응용수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
으로 일하던 2013년 최적의 바이올린 모양을 찾는 수학적 방법을 제시했다. 바이올린의 모양을 나타내는 복잡한 방정식을 쉽게 푸는 해법을 찾은 것이다. 이 해법은 악기 제작뿐만 아니라 빛의 움직임에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알렌 뇌과학 연구소는 캘리포니아공대 크리스트퍼 코흐 교수를 수석
연구원
으로 영입하면서 인간의 뇌에 대해 알아보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코흐 교수팀은 인도 남쪽에 있는 티베트의 승려를 만났다. 그들은 수 년 동안 일상을 떠나 인간의 근원에 대해 명상하며 지낸다. 명상을 할 때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한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대나-파버 암연구소의 코넬리아 폴약 교수와 도리스 타바썸
연구원
이 2015년 8월 ‘네이처 리뷰 캔서’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암의 서브클론 사이엔 ‘양성·음성의 상호작용’이 존재한다(doi:10.1038/nrc3971).양성 상호작용에는 편리공생과 상리공생, 동반상승효과가 있다. ... ...
[식물 속 동물 찾기]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3월 중순이 되면 겨울 동안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해요. 그러면 노루귀가 땅 밖으로 고개를 쏙 내밀지요. 눈을 헤치고 자라는 풀이란 뜻에서 ‘파설초’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노루귀의 모습을 보면 이름의 뜻을 바로 알아챌 수 있어요. 잎의 모습이 노루의 귀를 닮았거든요. 새끼손가락 하나 정도 ...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바퀴벌레 로봇, ‘크램’을 소개합니다!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로버트 풀 교수팀은 바퀴벌레 로봇 ‘크램’을 만들었어요. 바퀴벌레가 몸을 절반 이상 낮춰서 4mm의 좁은 틈도 통과하는 모습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지요.바퀴벌레는 부드러운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외골격과 각각의 판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