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d라이브러리
"
자주
"(으)로 총 3,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플미터식 무엇이 장점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시청자가 정확히 자신의 고유버튼만을 눌러 줄 것인가.③ 어린아이들이 장난으로 버튼을
자주
누르는 것에 대한 대비책은 있는가.④ 많은 방문객이 함께 TV를 시청할 때 모두 수용할 수 있는가.⑤ 주부가 TV 앞에 계속 있지 않고 돌아다니며 조금씩 보는 경우의 처리 방식은 있는가. 한단계 더 나아간 ... ...
(3) 정박아 기형아 낳을 위험성 높아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고령 어머니가 클리네펠터증 아기를 낳을 가능성이 높으며 또 남자형제가 많은 가정에서
자주
나타난다. 이 환자는 키가 크고 건강한 남성과 다름이 없으나 고환의 발육이 나쁘고 기형적으로 작으며 정자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사춘기가 되면 성숙한 여성처럼 젖꼭지 주위가 부풀어오르는 경우가 ... ...
인조광선으로 마음의 병을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우울해지거나,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느껴지거나, 지나치게 나태해지거나,
자주
졸립고 삶의 밝은 면을 애써 외면하려든다면 SAD를 한번 의심해봐야 한다.이런 사람들은 겨울의 해가 너무 짧다고 느낀다. 그래서 아이슬랜드인이나 그밖의 유목민족들처럼 시계의 시간을 바꿔놓기도 한다.SAD로 ... ...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확인됐다. 어둠의 복수자(다크어벤저) 침입자(인베이더) LBC바이러스 스톤바이러스 등이
자주
발견됐고 피해도 심했던 편이다. 예루살렘바이러스는 89년에 처음 발견된 것으로 변종이 5종이나 된다. 미켈란젤로바이러스도 지난해 7월 '3월6일바이러스'란 이름으로 한 컴퓨터잡지에 실려 프로그래머들 ... ...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의사 윤한석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기구들을 든 채 졸기도 예사였다. 무엇보다도 마음에 걸리는 건 생전에 아버님을
자주
못찾아 뵌 일이다. 비록 대를 이은 치과의사답게 틀니를 개량한 발명품으로 아버님의 긍지를 높여 드리긴 했지만 연구를 한답시고 변변히 모시지도 못한 일이 마음에 빚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69년말 연구를 ... ...
(3) 땅속에서 썩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다. PHA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현미경이 개발된 후 여러 박테리아에서 작은 지방입자가
자주
발견됐다. 처음에는 지방 형태의 입자가 있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1923년 이 입자의 성분이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hydroxybutyrate)의 단위로 된 PHB(polyhydroxybutyrate)임이 밝혀졌다.60년대초 박테리아에 의한 PHB의 . ...
「고삐 풀린 망아지」 옛소련 핵무기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전술핵무기는 크기가 작아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옛소련의 1백52㎜
자주
포의 핵탄두는 지름 15㎝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여행가방 안에 들어가 시리아나 리비아로 얼마든지 '수출'될 수 있다. 유출된 핵무기는 열쇠부분을 개조한다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열쇠를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좇아다녔지만 새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습니다. 탐사지역이 제 고향인데도 필드에
자주
나가보지 못한 것 반성하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거제도연안과 을숙도 주남저수지 등의 일정 지역은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디에 희귀종인 붉은점모시나비가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메사라는 고립된 탁상지형이 나타난다. 메사의 측면은 간혹 계단형태를 갖고 있으며,
자주
색 흰색 분홍색 등 현란한 색조의 암석층으로 구성돼 지극히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다. 메사의 윗부분은 사암과 같이 단단한 암석으로 구성돼 아랫부분의 셰일과 같이 부드러운 암석층을 보호하고 있다 ... ...
독성 동물에서 천연 항생제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버리는 바다뱀의 신경독(neurotoxin)에 큰 흥미를 느낀다"고 얘기한다.뱀의 독이 의약품에
자주
활용되는 이유는 원하는 세포에 정확하게 독성물질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파충류생화학이 본궤도에 올라 뱀독의 본질이 좀더 자세히 밝혀진다면 제약회사들이 앞다퉈 뱀사냥에 나서게 될지도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