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2의 제곱수 체계와 1, 3, 9로 이어지는 3의 제곱수 체계가 효율적이다. 3의 제곱수 1, 3, 9를 십진법 덧셈에 편리하게끔 바꾼 게 1, 5, 10이다. 마찬가지로 2의 제곱수 1, 2, 4, 8을 십진법 덧셈이 쉽도록 바꾼 게 1, 2, 5, 10이다. 즉, [1, 5] 체계는 3의 제곱수에서, [1, 2, 5] 체계는 2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연구원들의 노력과 끊임없는 성능 개량으로 꾸준히 좋은 연구 결과를 내고 있다. 지난 9월에는 1만 번째 실험을 돌파하기도 했다. 양형렬 부장은 “1만 번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숱한 실험에도 기기가 안정적으로 운전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초전도 토카막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기술을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모습을 볼 수 있었죠. 혜성활동이 시작되는 순간을 포착한 건 처음이에요. 그날은 9월 26일이었어요. 갑자기 추리 목에서 뭔가가 뿜어져 나왔어요. 혜성에 목이 웬 말이냐는 분을 위해 잠깐 보충설명 드리자면…, 추리는 고무오리를 닮았어요.얼마 전 잠실 석촌호수에 전시됐던 러버덕을 떠올리면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가장 유명한 것은 목성과 토성이다. 목성 오로라는 보이저 1호가 지나갈 무렵인 1979년 처음 발견됐다. 당시에는 그저 목성에서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으로 취급했지만, 시간이 흘러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정밀한 관측을 한 뒤에야 목성에서 발생하는 오로라 현상으로 밝혀졌다. 특이하게도 목성은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라켈 루비오 연구팀은 생후 6개월 된 건강한 영아 43명의 기저귀에서 미생물 109종을 분리했다. 이 미생물들을 분석하던 연구팀은 ‘비피더스균’ 등 인체에 유익한 유산균 세 종을 발견했다. 유산균이 우리 몸에 좋다고 인정받으려면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우선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사람이나 동물이나 덩치 큰 쪽이 싸움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캐나다 퀸즈대 생물학과 폴 마틴 연구원이 새들의 싸움을 관찰한 결과,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 작은 새는 그럴 필요가 없어 싸움에 유리했다. 이 연구는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PLoS ONE)’ 9월 24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독 제거하는 담뱃재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용해 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해 그 내용을 ‘산업과 공업화학연구’ 9월 19일자에 발표했다.담뱃재에는 일종의 숯 성분이 포함돼 있다. 숯에는 수많은 구멍이 나 있는데, 이 구멍이 비소를 끌어들이면서 필터처럼 비소를 걸러준다.연구팀은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 담뱃재를 질산알루미늄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다르다. 우선 외래종에 비해 날씬한 편이다. 키는 30cm 미만, 몸무게는 평균 2.4kg(수컷), 1.9kg(암컷)이다. 몸에 근육이 많고 지방이 적어 ‘후라이드 치킨’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기름에 튀기면 근육만 남아 고무처럼 질겨지기 때문이다. 대신 오래 삶아서 먹는 백숙에는 제격이다. 1950년대 전까지 한국 ...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발열공포는 여전하다. 연구 대상자의 절반이 37.8℃를 발열의 최저기준 체온으로, 38.9℃를 고열의 최저기준 체온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발열과 고열은 각각 38.0℃ 이상, 40.0°C 이상으로 정의한다. 또한, 74.8%가 열이 나는 아이를 미온수로 목욕시킨다고 응답했다. 78.1%는 아이가 경련을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수 있다. 더불어 소비자들은 상품의 생산, 유통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한국조폐공사는 9월 25일, 제1회 위·변조 방지 신기술 설명회를 열었다. 김동후 위조방지센터 선임연구원(➊오른쪽 첫 번째)과 오창진 디자인연구센터 수석선임연구원(➋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각각 입체자성필름과 스마트기기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