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뉴스
"
같은시간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늘 할 일의 70%라도 해냈다면 성공했다고 기뻐하자
2021.10.09
목표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설정해야만 만족이라는 것을 느끼는 것이 가능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낸다는 말을 실감하고 있는 요즘이다. 일을 하나 마무리 지었다는 성취감을 느낄 겨를도 없이 또 다른 일이 밀려오고 데드라인 한 두 시간 전에 까먹은 일이 있었 ... ...
[프리미엄 리포트]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1.10.09
빙그레·우아한형제들·현대카드 제공 이 기사는 『글자 풍경』(유지원 지음, 을유문화사, 2019) 중 ‘글자체가 생명을 구하고 운명을 가를 수 있을까’(p.208-215)를 주로 참고해 작성되었습니다. 지금 당신이 보는 이 글은 돋움체로 쓰였다. 묵직하면서 굽은 곳이 없고 꾸밈이 거의 없는 깔끔한 글꼴 ... ...
"어려운 공공언어 해석하느라 매년 3496억원 손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난해한 공공언어 때문에 연간 3496억원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민이 보도자료를 접하는 과정에서, 공무원이 공무처리 과정에서 어려운 공공언어를 접해 추가로 사용하는 시간을 비용으로 환산한 결과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연구팀은 8일 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의 발견과 미래
2021.10.08
2021 노벨화학상 수상자 중 한 명인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의 연구실에서 필자가 연구생활을 할 때 함께 찍은 사진이다. 2015년에서야 본격적으로 포스닥 생활을 시작하였는데, 이때 리스트 교수가 제안한 연구테마는 ”케톤을 친전자체로 유기촉매 반응에 활용해 보자”였다. ... ...
먹는 치료제 2만명분 확보…‘위드 코로나’를 위한 또 다른 퍼즐, 먹는 치료제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7
다국적제약업체 머크앤드컴퍼니(MSD)와 생명공학기업 리지백 바이오테라퓨틱스가 공동 개발한 몰누피라비르.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이르면 이달 말 또는 11월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단계적 일상 회복’을 시행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중이다. 확진자수 규 ... ...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과학자에게 필요한 건 '자유'와 '도전정신'"
동아사이언스
l
2021.10.07
2021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 데이비드 맥밀런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화학상을 받은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는 6일 "노벨상과 같은 혁신적 연구 성과를 내려면 연구자들에게 더 많은 자유를 ... ...
분자 만드는 독창적 도구 '유기촉매'로 제약 혁신과 친환경을 구현하다(재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2021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데이비드 맥밀런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AFP/연합뉴스 제공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데이비드 맥밀런 ... ...
노벨화학상, 의약품 연구와 친환경 화학 혁명 가져온 2명의 화학자 수상(종합)
2021.10.06
2021 노벨화학상 수상자 발표. AFP/연합뉴스 제공 올해 노벨 화학상은 당뇨병 치료제로 유명한 ‘시타글립틴’을 비롯해 향수 원료 물질 등 광범위하게 쓰이는 화학물질을 금속 없이도 만들어내는 ‘비대칭 유기 촉매’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 2명의 화학자에게 돌아갔다. 두 수상자는 한국에서 ... ...
5년간 우울증 앓던 환자가 뇌 전기자극 치료로 웃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UC샌프란시스코 연구진이 개발한 뇌 이식 전극 장치 개념도. 네이처 메디신 제공. 5년 동안 심각한 우울증을 앓고 있었던 36세 여성 환자를 뇌 전기 자극을 통해 치료에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우울증과 관련된 뇌 활동 패턴을 감지하고 뇌에 이식한 전극을 통해 자극하는 방식으로 환자는 ... ...
'무작위성·무질서'에 담긴 규칙에서 기후위기 해결의 실마리를 찾다...노벨위원회 설명자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20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마나베 슈쿠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클라우스 하셀만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조르조 파리시 이탈리아 사피엔자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마나베 교수와 하셀만 연구원은 지구의 기후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