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호
옹호
방어
방위
수호
후원
찬조
뉴스
"
보호
"(으)로 총 4,2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를 사냥한 올빼미 ‘충격’
팝뉴스
l
2018.12.27
비난할 수는 없다. 야생의 규칙을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반려 동물
보호
자의 책임 의식을 지적한다. 고양이나 개가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방치하지 말자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우수 기업연구소에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크리스탈지노믹스·휴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6
5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전체 연구원의 44%가 석·박사이며 직무보상제도와 기술
보호
활동으로 기술 역량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크리스탈지노믹스는 분자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신약후보 물질을 개발하는 핵심기술을 보유했다. 지금까지 질환 표적 단백질 후보물질 9종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돌기가 어떻게 그 많은 털을 뚫고 피부까지 닿을 수 있을까. 고양이 털은 겉에 보이는
보호
털과 그 아래 있는 솜털로 이뤄져 있는데, 개수로 솜털이 24배 정도 더 많다. 그런데 솜털은 아주 가늘어 털로 덮인 공간에서 실제 털이 차지하는 부피는 3%에 불과하다. 나머지 97%는 공기인데, 이런 구조 덕분에 ... ...
50년 전 달에서 온 크리스마스 선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모습은 사람들에게 우주 속 작은 행성에 살고 있음을 깨닫게 해줬다. 아름다운 지구를
보호
해야 한다는 걸 인식하게 해 환경운동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지난 10월 8일 이를 기려 지구돋이 사진 속 충돌구의 이름을 ‘앤더스의 지구돋이’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 ...
강아지 다리가 날씬해진 이유
팝뉴스
l
2018.12.24
전해진다는 평가다. 사진을 보고 있으면 다리 부상에서 회복한 반려견을 사랑하는
보호
자의 마음이 느껴진다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들은 과학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치이념적 공격에서
보호
해 기후 문제를 다룰 것을 약속했다. 그래핀 두 겹을 1.1도 기울여 쌓으면 초전도체의 특성을 갖게 된다-MIT 제공 ●그래핀 초전도체로 만드는 마법 각도 발견 올해 물리학계에서는 기념할만한 연구 성과와 ... ...
도널드 트럼프 이름 딴 양서류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과학자도 이번 경매에서 결정된 학명에 동의했다. 경매를 통해 얻은 수익은 열대우림을
보호
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환경운동 프로젝트인 ‘레인포레스트 트러스트(Rainforest Trust)’에 전달될 예정이다 ... ...
AI윤리 제정에 앞다퉈 나서는 美中日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발표했다. 사회적으로 유익하고 편견을 피하며 안전하고 책임을 지며 개인 정보를
보호
하고 과학적 우수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1월 ‘더 퓨처 컴퓨티드’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AI 기술과 관련 윤리적 원칙을 정의했다. 공정성과 포괄성, 안전성 및 안전, 투명성 , ... ...
2018년 네이처 선정 10대 인물에 그래핀 초전도체 개발한 22세 청년
2018.12.19
에너지과학기술환경기후변화부 장관은 올해 35세의 나이에 장관직에 올라 환경
보호
를 위한 정책을 제정하는 데 분투했다. -빈센트 폴 용 제공 네이처는 매년 환경 운동가를 올해의 인물에 포함시키며 환경에 대한 관심을 두고 있다. 이번에는 여비인 말레이시아 에너지과학기술환경기후변화부 ... ...
‘꽃잎 지는 원리’‘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연구와, 전령RNA의 긴 아데닌(A) 염기 꼬리 부분에 다른 염기가 혼합된 꼬리가 존재하며
보호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의 연구가 함께 이름을 올렸다. 강봉균 서울대 교수팀이 새로 개발한 화학 탐지 기법으로 시냅스를 구분했다. 빨간색 수상돌기 위에 있는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