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뉴스
"
위성
"(으)로 총 3,27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하 196도의 세계를 다스리는 남자
2016.01.20
개발한 냉각장치는 현재 K1 전차에서 포수나 전차장이 보는 조준경에 들어가 있다.
위성
에 쓰이는 열 영상 장치에도 탑재됐다. 그는 기계연에서의 생활에 후회는 없지만 “다시 하고 싶진 않다”고 조심스럽게 속내를 내비쳤다. 30년 전으로 돌아간다면 중·고등학생 때 꿈꿨던 이론물리를 공부하고 ... ...
가방만 매고 다니면 저절로 3차원 지도가 슥슥
2016.01.19
그리기 위해서는 지도를 그리는 자신의 위치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외에서는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을 이용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지만 실내에는 GPS 신호가 닿지 않아 건물 내에 설치된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해야 한다. 여러 군데 설치된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오는 신호의 세기가 ... ...
별 탄생 비밀 풀어낼 ‘우주 적외선 관측자료’ 나왔다
2016.01.18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연구팀은 국내 인공
위성
인 ‘과학기술
위성
3호’에 탑재된 다목적적외선 영상관측시스템을 이용해 성간먼지가 편광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결과는 천문학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증보(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 ...
핵 보폭 넓히는 북한… “영변 경수로 가동 임박”
동아일보
l
2016.01.16
것으로 보인다고 이날 밝혔다.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ISIS 소장은 “지난해까지 촬영된
위성
사진에는 원자로에서 온수가 배출되는 모습이 담긴 적이 있는데, 최근 사진에는 온수가 나오는 모습이 포착되지 않았다”면서 “이는 흑연감속로를 북한이 간헐적으로 가동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 ...
청명한 날 vs. 구름 낀 날, 빙하의 선택은?
2016.01.13
연구팀은 세계에서 2번째로 큰 규모인 ‘그린란드 빙하’를 2007년부터 4년간 지상과 인공
위성
에서 관측하고, 두 관측 결과를 토대로 빙하의 소멸에 영향을 미치는 구름의 영향을 수학 모델로 만들었다. 그 결과 청량한 날씨에 비해 구름 낀 흐린 날 빙하가 3배 더 빨리 녹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매일 ... ...
암스트롱이 입었던 우주복은 어떻게 생겼을까
2016.01.10
향한 노력은 오래 전부터 이어져왔다. 1957년 10월 옛 소련(러시아)은 세계 최초의 인공
위성
인 ‘스푸트니크’를 발사했다. 1969년 미국은 ‘아폴로 11호’를 발사해 처음으로 인간을 달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우주를 향한 이런 인간의 끊임없는 도전과 업적들이 ... ...
핵실험 명령서 필적 분석으로 본 김정은
동아일보
l
2016.01.08
올리는 ‘1호 보고서’는 모두 프린트한 것이었다. 김정은도 취임 초기 프린트된 ‘인공
위성
’ 발사 요청서에 사인했다. 어느 순간 필사본으로 바뀐 1호 보고서를 통해 김정은의 권위 콤플렉스를 엿볼 수 있다. 쉽게 프린트할 수 있는 서류가 아닌 정성을 담아 손으로 쓴 보고서를 받음으로써 자신이 ... ...
北선 만들기 힘든 ‘삼중수소’ 어디서… 제재구멍 차단 첫숙제
동아일보
l
2016.01.08
제기했다. 한 유엔 소식통은 “지난해 9월 미국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가 북한 영변의
위성
사진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 ‘강화된 핵무기’ 제작에 이용되는 트리튬(삼중수소)을 생산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고 전했다. 영변 핵 단지 내 지원시설이 있던 자리에 신축된 건물 가운데 ... ...
비밀 핵실험?…눈과 귀 속일 수 있나
2016.01.08
생긴 지형 변화를 알 수 있다”며 “지하에서 은밀하게 수행하는 핵실험은 광학
위성
으로 관찰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 수소폭탄 터졌다면 공기 중에서 헬륨 나와야 핵실험을 하고 나면 공기 중에도 흔적이 남는다. 핵실험에서 생긴 방사성 물질이 바람을 타고 확산되기 때문이다. ... ...
북한 수소폭탄에 대해 궁금한 것 5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1.06
크세논,Xe)과 같은 방사성 기체 농도를 파악해 핵실험을 감지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위성
GPS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도 연구 중입니다. 핵실험이나 화산폭발, 지진같은 대규모 지각 현상이 있을 경우 대기 중 전자기 밀도가 변화하는데, 이를 GPS 신호로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 [과학동아 200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