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더 싸게, 더 빠르게
과학동아
l
199705
있게 되면서 인터넷은 그 무한한 가능성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제 인터넷을 통해 지구
반대
편에 있는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것은 물론 서로의 모습을 볼 수도 있으며 텔레비전 방송까지도 시청할 수 있다.그뿐인가. 국경을 넘나들며 필요한 물건을 주문할 수 있고 바다 건너 다른 나라에서 일어난 ... ...
스포츠속의 왼손잡이 - 야구장은 왼손잡이 천국
과학동아
l
199705
안쪽을 커버할 수 있다. 하지만 3루수나 유격수는 오른손잡이 전용위치다. 3루는 1루수와
반대
의 경우이고, 오른손 유격수는 2루주자 태그에 유리하다.왼손잡이 투수는 공을 던지기 전까지 1루를 향하고 있어 도루를 시도하는 주자에게 재빨리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왼손잡이 투수는 왼손잡이 ... ...
왼손잡이 아동교육
과학동아
l
199705
부모들은 식탁이나 책상에서 왼손으로 밥을 먹고, 글을 쓰는 자녀를 발견하면 오른손으로 '교정' 하기 위해 심하게 닥달한다. 아이들의 우세손 ... 대부분. 따라서 학교는 이들을 위한 배려를 해야 하며, 선생님도 "왼손이 편한 사람은 그
반대
로 하라"는 등의 말로 신경을 써주는 것이 옳다 ... ...
Ⅳ. 카퍼필드의 비밀을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9704
이를 외부에서 본다면 상체만 보이고 하체는 사라진 상태다. 동시에 들어간 사람은
반대
로 머리와 상체를 침대 받침대 속으로 굽혀 넣는다.이런 모습이 갖춰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길어야 1분 이내. 이 부분은 매우 짧은 시간에 진행돼야만 한다. 마술의 특징은 과정을 보여주는 법 없이 극도로 ...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704
재현시켜 물고기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만든 수족관이 한쪽 공간에 길게 늘어서 있고,
반대
편에는 자신이 주인공이 돼 게임을 즐기는 ‘환상적인’ 가상체험 기구가 있다. 모든 과학관에 ‘단골 메뉴’로 등장하는 푸코의 진자도 둔중한 몸짓으로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부딪치며 배운다 ... ...
3만분의 1확률
과학동아
l
199704
잘 팔린다고 해서 신차 개발을 게을리했다가는 앞으로 언제 어떤 위기에 처할지 모른다.
반대
로 경쟁에서 뒤떨어졌더라도 신차를 제대로 개발하면 언제든지 상황을 역전시킬 수 있다.실례로 독일의 포크스바겐은 ‘골프’라는 소형자동차를 발표해 경영위기에서 극적으로 탈출할 수 있었다. ... ...
과학원리 듬뿍 담긴 부메랑 만들기
과학동아
l
199704
부메랑은 던졌을 때 오목한 부분에서 보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왼손잡이용은 그
반대
다.부메랑은 던지면 8자나 S자 모양을 그리며 돌아오지만 달팽이와 같은 나선형을 그릴 때도 있다. 이것은 부메랑의 날개가 진행면에 대해 얼마나 꺾여 있는가에 따라 다르다. 많이 꺾여 있을수록 나선형을 ... ...
당신의 생명을 구해주는 튜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03
인기를 끌었지만 쉽게 미끌어져 사고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 요즘은 인기가 시들한 편.
반대
로 버킷타입의 시트들이 새로 출시되는 승용차들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운전자의 상체 양 옆이 튀어나온 버킷(bucket)시트는 몸을 감싸주기 때문에 급회전을 할 때도 운전자의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아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판막
과학동아
l
199703
줄어들어도 문제다. 늘어나면 일단 나간 혈액이 도로 역류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반대
로 좁아지면 혈액이 정상적으로 나가지 못한다.제기능을 상실한 판막을 대신할 수있는 인공판막이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30여년 전 부터다. 현재까지 60여종의 인공판막이 개발됐으며, 세계적으로 연간 약 7만5천건 ... ...
한반도공룡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703
곳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천전리에서 효정원(지체부자유자 교육시설)을 사이에 두고
반대
쪽에 있는 장천리 개울가에서 그동안 익혔던 지식을 충분히 활용했다. 이번에는 김교수가 설명해주지 않아도 공룡발자국이라는 사실을 금방 확인할 수 있었다. 장천리 개울가에는 군데군데에 공룡발자국이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