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관측한 우주배경복사에서 도출된 값은 67.80(km/sec)/Mpc이었다.사실 허블 상수가 바뀐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그런데 매번 화제가 되는 이유는, 허블 상수가 현대표준우주모형과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허블 상수는 먼 은하의 후퇴 속도를 은하까지의 거리로 나눈 값으로, 우주의 팽창 속도를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공간인 0.25m2(0.5m×0.5m)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권 선임연구원은 “셀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건 그만큼 많은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는 의미로 통계학에서는 다수의 법칙이라고 한다”며 “마치 해상도가 높은 화면처럼 보고자 하는 현실을 더 정확히 볼 수 있게 한다”고 말했습니다.STEP 2 과거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둥둥 떠있는 개구리들은 마치 죽은 것 마냥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 “혹시… 죽은 건 아니겠죠?” 조심스레 묻자 권 교수는 “이래 보여도 실험실을 나갈 뻔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라며 기자를 더 걱정스럽게(?) 만들었다. 실험실 문에는 개구리의 탈출을 막는 장치까지 마련돼 있었다.아무도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종별로 탐사하는 지역도 다르고, 횟수도 다르기 때문에 6종을 모두 수료한다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에요. 그런데 6종을 수료한 팀이 5팀이나 됐어요. 갯벌속 조개들과 닥터구리, 라이노비틀즈, 발자국, 부지사대가 바로 그 주인공으로 가장 먼저 수료증을 받았답니다. 한편 수료 기준인 3종 이상을 ... ...
- Intro. 신나게 발을 구르면 비행기가 부웅~! 인간 동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뭐야. 그것도 크리스마스 전날 밤에 말이지. 이제 선물이 실린 마차를 끌 수 있는 건 산타인 나뿐이야. 여태껏 루돌프가 끄는 마차만 탔는데, 이젠 오로지 내 힘으로만 크리스마스 선물을 배달해야 해. 어떻게 하면 선물 배달을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나게 발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흐르지 않는 전기, 정전기!정전기는 전하가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전기를 말해요. 정전기가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마찰’ 때문이에요. 보통 물질을 이루고 ... 비밀과학수사대에게 대결을 신청한다!”“대결이요? 무슨 대결을 한다는 거예요?”“그건 따라와 보면 알겠지, 후훗~ ...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알아야 하고, 전세계 곳곳을 누빌 수 있는 튼튼한 체력도 필요해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협력이에요. 화석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람과 함께 할 일이 많거든요. 따라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생각을 나누고 배려하는 마음을 갖는 게 가장 중요하답니다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우리는 한 시간 만에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갈 수 있게 됐답니다.비행기가 날 수 있는 건 날개가 ‘양력’이라는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에요. 양력은 날개를 타고 흐르는 공기가 만들어내는 힘이랍니다. 이 힘은 위쪽 방향으로 작용해 비행기 날개를 위로 들어 올리지요.2. 로켓에 날개가 없는 이유는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먹이를 찾아 사람들 가까이로 내려오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지요.가장 자주 볼 수 있는 건 직박구리예요. 직박구리는 우리나라 어디서나 흔하게 볼수 있는 텃새로, 광릉숲에도 많은 수가 서식하고 있어요. 차가운 바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나뭇가지에 앉아 갈색 반점이 있는 뺨을 갸웃거리며 ... ...
- Part 2.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로봇이 가장 주목받고 있는 건 바로 의료 분야란다. 몸에 쏙 들어가는 로봇을 이용하면 수술 없이 병을 치료할 수 있거든. 게다가 치료가 필요한 부분만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어서 부작용도 크게 줄일 수 있지. 먼저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부터 소개해 줄게~!소화 기관 구석구석을 보는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