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만치 않은 비용이 필요하고 아이템베이의 경쟁사가 국내 아이템거래 중개시장을
양
분하며 치열한 경쟁구도에 있다는 이유에서 경쟁사의 전 임원이었던 김 씨를 주목했다. 경찰은 김 씨를 사주범으로 보고 지난해 10월 폭력행위(상습공갈) 및 정보통신망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 ... ...
고
양
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물에 담그고 ‘쭉’ 빨아 당기면 쉽게 물을 마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혀는
양
옆이 위로 말려 올라가 물이 지나가는 수로 역할을 한다. 물론 물이 너무 얕을 경우는 혀를 이용해 핥아 먹는 수밖에 없다.코끼리는 당연히 긴 코를 이용해 물을 마신다. 코로 물을 쭉 당긴 뒤 코 끝을 입에 가까이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예상했다. 고엽제는 물에 잘 안 녹고 토
양
에 흡착되기 때문에 고엽제에 오염된 토
양
을 잘 걷어내 처리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는 “주민들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정부와 과학자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임종한 인하대 의대 교수는 드럼통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골고루 배치해 그리는 것을 말해요. 색은 알록달록하게 하기보다 같은 계열의 색을 다
양
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답니다. 예를 들면 노랑과 연두, 녹색 등을 기본으로 조금씩 색을 섞어서 그리는 거죠. 이렇게 풍부한 색감은 원근법과 함께 입체감도 줄 수 있어요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했다. 학생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면을 상상해서 문제를 풀기란 어렵다는 뜻이다.이에
양
대표는 4D프레임 구조물에 종이를 끼워 면을 만들수도 있다고 답하며 4D프레임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5월 2일에는 에스토니아의 수도 탈린에 위치한 아하박물관에 4D프레임이 전시됐다. ... ...
삼각형의 결정조건은 세 가지뿐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생각해봅시다. 이때는 사실 각이 3개 주어진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변의
양
끝 점에서
양
끝 각의 크기를 그리면 만나는 점이 생겨 삼각형이 하나로 결정(ASA)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더 많은 요소가 주어질 때를 생각해봅시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을 보세요. 작은 삼각형과 큰 삼각형에서 세 각의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공전하면서 암흑물질 농도가 다른 지역에 들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2008년에는 더 많은
양
의 요오드화나트륨을 이용해 실험 결과를 재현해 보이기도 했다.하지만 미국 콜롬비아대에 근거지를 둔 다국적 암흑물질 연구팀인 ‘제논(XENON)100’은 이런 연구 결과를 부정했다. 제논 팀은 4월 13일 “액체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낮을 것”이라며 “또 성체줄기세포를 증식시키면 환자 치료에 쓸 수 있는 충분한
양
의 분화된 세포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1998년 인간배아줄기세포가 발견된 지 13년 만에 본격적인 ‘2세대 줄기세포 치료’의 시대가 막 열리고 있다. 2006년 선을 보인 유도만능줄기세포나 지난해 발표된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임창환 교수는 tDCS로 머리를 자극할 때 뇌 부위와 자극 방향에 따라 알맞은
양
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자동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08년 5월 과학학술지 ‘피직스 인 메디슨 앤 바이올로지’에 게재됐다. tDCS 관련 공학 논문으로는 국내 최초다.tDCS로 정확하게 머리의 어느 부분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로봇 팔의 손가락도 3개로 정했다. 손가락 3개에는 각각 힘줄이 붙어 있고, 힘줄은 T자 모
양
의 금속판에 삼각형을 이루며 붙어 있다. 이 삼각형의 무게중심에는 모터와 연결된 힘줄이 하나 붙어 있다. 손가락 3개는 이 힘줄하나로 움직이는 셈이다. 이 힘줄을 당기면 손가락이 오므라드는데, T자형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