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SOS! 우리도 지구에서 살고 싶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드러났다. 특히 양서류는 41%가 멸종 위기에 놓여 있었다.지도로 본 멸종위기종세계
자연
보전연맹(IUCN)의 2010년도 적색목록집(RedList)에 실린 주요 국가의 멸종위기종 수를 지도에 표시해 보았다. 지도에서 높이 도드라질수록 멸종위기종도 많다.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대륙에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한의학을 눈여겨보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런 시도는 현대의학이 발전해 온
자연
스러운 과정이라는 것이다. 취재를 위해 만난 의사들은 “단순히 민족주의적인 이유로 의학을 하는 건 과학적인 태도가 아니다”라며 “수백 년에 달하는 문화유산이라고 해도 과학적인 검증을 할 필요가 ... ...
조건 따지는 사랑도 본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나의 실마리가 전체를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있다. 특히 인간의 본능에 가까운 것일수록
자연
은 곧잘 해답의 실마리가 되곤 한다. 그것도 매우 재미있는 방식으로.남자와 여자가 서로를 탐색할 때만큼 본능에 충실한 순간도 없다. 대개 남자는 여자의 아름다움을 먼저 보고 여자는 남자의 조건에 ... ...
동화 같은
자연
의 나라,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지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떤 꿈을 꾸고있나요? 뉴칼레도니아의 아름다운
자연
과, 풍부한 자원, 그리고 원주민과 프랑스가 함께 이룬 풍성한 문화를 체험하는 일은 여러분의 꿈을 설계하는 데 분명 큰도움이 될 거예요. 어린이 탐험대에 꼭 도전해 보세요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피부피부를 검게 만드는 멜라닌 색소는 햇빛이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주는
자연
선글라스다. 피부는 햇빛을 많이 받으면 우리 몸의 신경계를 발달시키는 물질과 정자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을 파괴한다. 이 때문에 아프리카와 같이 햇빛이 많이 내리쬐는 열대 지역에서는 ... ...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의해 더욱 발전해 다른 학문에도 큰 영향을 미쳤어. 프랙탈 차원의 정의 덕분에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은 물론 과학 분야와 의학 분야 연구에도 활기를 띠게 됐으니까. 예를 들면, 어떤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어떤 항체의 경우 바이러스와 항체가 결합하는 부분이 약 2.4차원으로 같아 정확하게 ... ...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담아 프랙탈을 이용해 표현한다. 딱딱하고 기계적이며 차가운 이미지가 아닌 동물이나
자연
환경을 그려내면서 가슴 따뜻한 이야기를 전하는 것이 그가 프랙탈을 그리는 목적이다. 보통 작품은 한 달 내내, 어쩔 땐 그 이상의 시간을 투자하기도 한다.다음은 박 교수가 2007년 ‘프랙탈 갈대-2’라는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가장 큰 수(초한수) 가 있다고 가정할 때, 항상 그 수보다 더 큰 수가 존재하므로 최대
자연
수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가장 큰 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했습니다.하지만 수학자들은 ‘과연 어떠한 집합도 가장 큰 수를 원소로 갖는 집합보다 더 많은 원소를 가질 수 없는가?’에 의문을 품고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근본 원인을 찾아내 치료한다.개인의 체질에 따른 처방과 신체의 조화를 중시하는
자연
과학적 방법이다.”“한의학은 자신들이 주장하는 치료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라는 요구 자체가 서양 의학적 사고라며 검증을 회피한다.이는 윤리적·사회적으로 무책임한 행위다.”어느 쪽이 진실일까.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질문을 던지는 독자에게 유용한 책이다. 저자는 과학자 사이에서 논란이 벌어지는 것은
자연
스러우며, 이를 통해 낡은 지식이 뒤집어지는 ‘혁명’이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또 과학 역시 다른 지식과 마찬가지로 이해관계 등 사회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절대적인 진리는 아니라고 말한다.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