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다른 나무 구멍에 옮겨주면 또 그 나무 구멍의 환경에 적응해 겨울잠 패턴이 달라졌다는 점이다(2004년 ‘네이처’ 발표).곰곰히 생각해보면 여우원숭이 입장에서는 체온을 바꿔야만 한다. 능력이 아무리 특출한 원숭이라도 매번 단열이 잘 되는 나무 구멍을 고를 수는 없다. 따라서 환경에 따라 ... ...
- [Culture] 플레이 전략 3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 있다. 각 원이 차지하는 범위 안에는 수많은 점이 들어 있다. 이때 두 원이 하나의 접점에서 서로 닿거나 범위가 겹치면 서로 충돌했다고 볼 수 있다. 전략2 다양하게 모으려면 더 멀리 여기저기 다녀라다양하고 희귀한 포켓몬이 자주 나타난다는 ‘성지 중에 성지’인 강원도 강릉 경포에 왔다.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해냈다(163쪽 아래 사진).이렇게 장점이 많은 한옥이지만, 물이나 불, 벌레에 약하다는 단점도 있다. 한동안 현대 건축에 밀려 역사의 뒤안길에 머물러 있었지만, 2000년경 다시 한옥의 인기가 높아졌다. 한옥이 재조명 받은 것은 기쁜 일이었지만, 한옥을 설계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는 게 문제였다.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대한 평가는 극명히 갈린다. 이전의 저항을 기억하고, 이를 3차원으로 구현했다는 점만으로도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진짜 멤리스터라고 하기는 어렵다. 2015년 ‘사이언티픽 리포트’의 논문에서도 “2008년 HP는 멤리스터를 단지 메모리 기능을 가진 비선형 ... ...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만약 9에서 0으로 온 점이 3개라면 다른 점보다 크게 나타내요. 같은 원리로 바깥쪽에도 점을 표시해요. △루마니아 예술가 크리스티안 바실이 그린 π 그래프.크리빈스키 그래프와 원리는 같지만 선이 어디서,어디로 가는지 나타나 있지 않다. 제 작품이 어떤가요? 흥미로운가요? 올해도 새로운 π ...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는 베스타의 연쇄 충돌로 생긴 파편이 지구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뜻이다. 점차 줄어들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연구팀은 소행성 띠에서 지구로 오는 파편의 출처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예컨대 4억6700만 년 전 샘플에서는 콘드라이트 중에서도 철함량이 매우 낮은(LL)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인공 망막과 달리 망막에 직접 전극을 이식할 필요가 없고, 외과 수술도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2011년 5월, 미국 남캘리포니아대(USC) 앨런 호사저 교수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눈이 먼 생쥐의 시력을 기초적인 수준까지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일본 오카야마대 연구팀은 아우어렙(OUReP)이라는 ... ...
- [Future] 갤럭시노트7 430만 대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동, 팔라듐을 만들 수 있다. 대량처리가 가능하고 복잡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들 금속 외에 이온화 경향이 큰 나머지 금속은 용광로 안에서 산화되기 때문에 회수가 불가능하다. 국내 기업 중에는 LS니꼬동제련이 이 방법을 쓴다.스마트폰에 있는 나머지 금속을 모두 ... ...
- [가상인터뷰] 벌새의 특별한 비행 능력, 뇌에 답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측정했지요.그 결과, 벌새의 뉴런은 금화조와 달리 빠른 움직임에 무척 예민했어요. 또 점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든 모두 빠른 속도로 반응했지요. 반면 금화조의 뉴런은 앞으로 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금화조처럼 대부분의 동물들은 앞으로 나가는 방향의 ...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우리는 과학시간에 중력이 내 몸의 한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배운다. 배꼽쯤 되는 위치에 점을 그려넣고 여기에 중력이 한꺼번에 작용한다고 보는 식이다. 우리가 지구에 있을 땐 그 정도 설명으로 충분하지만, 블랙홀처럼 엄청 무거운 천체 근처에 가면 조석력이 매우 커져 내 몸이 산산이 찢길 수도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