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스페셜
"
병원
"(으)로 총 3,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암 개인맞춤 치료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4
Daniel Hertzberg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지 표지에는
병원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가 등장한다. 이 환자가 투여 받고 있는 약의 포장재는 환자의 얼굴과 똑같은 모양이다. 세상에서 하나 뿐인 ‘개인 맞춤용 면역항암제’이기 때문이다. 암 치료에 보편적으로 쓰이는 항암 치료는 효과가 높은 대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엄밀한 연구에 들어갔다. 마크 헤그스테드(Mark Hegsted)가 이끄는 연구자들은 댄버스주립
병원
의 정신병동에 입원한 남성 조현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식단을 제공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헤그스테드는 ‘데이터로 말하는 과학자’로 명성이 자자했다. 미국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
2018.02.10
날 문득 ‘건강한 것이 당연한가?’라는 질문을 던져보았다. 바깥에서 잘 보이지 않을 뿐
병원
에는 병실이 모자랄 정도로 많은 환자들이 있었다. 질병도 다양해서 층층이 서로 다른 진료과들이 있었고 흔히 들어본 질병들보다 난생 처음 들어보는 질병들이 더 많았다. 환자들의 사연도 다양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회사가 트레할로스를 싸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지 않았다면 수백 명이 허무하게
병원
에서 목숨을 잃을 일은 없었을 거라는 부질없는 생각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문구가 들어있다. 1955년 아인슈타인이 76세로 사망하자 부검을 맡은 프린스턴
병원
의 병리학자 토머스 하비는 뇌를 적출했다. 그는 뇌의 무게를 재고(1230g으로 남자 뇌의 평균보다 약간 가벼웠다) 여러 각도에서 사진을 찍은 뒤 240 조각으로 나눠 일부는 자신이 보관하고 나머지는 저명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지난 2011년 소말리아 해적의 총탄을 맞고 사경을 헤매던 석해균 선장을 살린 아주대
병원
이국종 교수에게 보내졌고, 두 번의 수술을 마친 상태에서 패혈증이 나타나 아직 회복을 장담할 수 없는 상태라고 한다. 동아일보 제공 그런데 15일 2차 수술을 마친 뒤 이 교수는 기자 브리핑 자리에서 뜻밖의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어느 날. 유전적 피부질환 분야 전문가인 데 루카 이탈리아 모데나대 교수는 독일의 한
병원
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선천적 피부병으로 인해 친구들과 뛰어놀지 못하는 것은 물론 매일매일 붕대를 감고 살아가야 하는 소년의 치료를 도와줄 수 없냐는 내용이었다. 이 소년은 중증 ‘수포성 표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신부전증으로 신장이 완전히 망가져 투석을 받아야 하는 신세가 된 것. 조사 결과 이
병원
에서는 1990년 6월 체중감량 약물의 처방을 바꿔 중국 약재 두 종을 추가했는데, 한방기(漢防己. 분방기(粉防己)라고도 부르며 학명은 Stephania tetrandra이다)와 후박(학명 Magnolia officinalis)의 뿌리 추출물이다. 그 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모든 혈액형에 쓸 수 있고 면역반응을 일으키지도 않는다고 한다. 물론 바이러스 같은
병원
체가 들어있을 가능성도 없다. 그렇다면 이렇게 좋은 인공혈액이 이미 나와 있는데 왜 정작 제조국인 미국은 물론 늘 피가 부족해 쩔쩔매는 우리나라에서도 쓰지 않는 걸까. 사실 미국에서는 2000년대 초 이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최대로 누릴 수 있고 반면 노세보 효과는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서울대
병원
이야 국립이니 이렇게 하다 적자가 나도 세금으로 메워주니 무슨 걱정이냐는 냉소적인 시선도 있지만 방향은 제대로 잡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조 머천트가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마음이 건강에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