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수준"(으)로 총 3,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의사를 강하게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없는 외국인인 독일인에게는 나르시시즘 수준에 따른 보복 의사에 차이가 없었다(Golec de Zavala et al., 2013a). 폴란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실제로 보복행위를 살펴보았다. 집단적 나르시시즘이 강할수록, 자기가 소속된 대학을 나쁘게 말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2017.01.23
- 게 아니라 듣는 사람을 좀 더 배려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나저나 알파고 수준의 번역기는 언제쯤 나올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계획한 것 달성하려면, 이렇게! 2017.01.21
- 때는 이것을 꼭 해내고야 말겠다는 다짐과 뭐든지 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 등 동기 수준이 상당히 높은 상태이다. 이런 ‘목표’ 초점적인 마음 가짐 상태에서 우리는 현실과 근거에 기반한 신중한 의사결정보다는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의사 결정을 내리게 되기 쉽다. 그 결과 나의 앞길과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성공, IQ보다 성격에 달렸다?!2017.01.10
- 관계를 살펴보았다(Borghansa et al., 2016). 그 결과 삶의 일반적인 결과들, 즉 임금, 교육수준, 범죄(체포 빈도),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행복도, 투표 참여율 등을 예측하는 데 있어 IQ보다 성격이 더 높은 예측력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위 그래프를 보면 검은색 막대가 IQ, 회색 막대가 성격,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오른쪽). - 네이처 제공 전자소자로 쓰려면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야 할 뿐 아니라 나노수준의 정교한 패턴대로 칩에 배치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CNT는 그렇게 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하나만 놓고 보면 CNT트랜지스터가 실리콘반도체트랜지스터보다 효율이 높고 전기적 특성이 좋지만 손톱만 한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그는 "광우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조기 진단이 중요한데, 이 연구를 통해 유전자 수준에서 조기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진단 마커 뿐만 아니라 광우병 치료를 위한 약물 타깃 후보 물질까지 제시할 수 있었다"며 "무엇보다 이 연구성과는 시스템 생물학을 질환에 적용한 초기 사례 중 하나"라고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연구성과 중에서도 과학계 권위자들로 구성된 IBS 연구기획·조정위원회에서 선정한 최고 수준의 성과들이 집약된 결과물이다. 김두철 원장은 발간사에서 "26개 연구단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다수 창출했지만 그중에서도 과학적 탐구심이 빛을 발한 진수만을 모았다"고 소개했다. 우수연구성과 2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2017.01.04
- 그가 총장으로 있으면서 어바인 캘리포니아대는 여성 과학도의 비율이 미국 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다. 미 국립과학원 역시 그가 원장으로 있던 11년 사이 여성 회원수가 10% 미만에서 15%를 넘어섰다. 신규회원에서 여성의 비율은 26%를 넘게 치솟았다. ‘사이언스’ 12월 2일자에 부고를 쓴 두 사람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2017.01.03
- 학부생을 위한 유기화학 교재를 비롯해 NMR 분광학, 분자궤도이론 등 다양한 분야와 수준의 교재를 집필했다. 로버츠 역시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이언스’에 부고를 쓴 하버드대 조지 화이트사이즈 교수는 1960년대 로버츠의 실험실에서 대학원 생활을 했는데 실험은 자유방임형이었지만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비해 이온이 턱없이 부족한 동굴의 물이라는 환경 스트레스가 샤프론이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 결과임을 입증했다. 린드퀴스트는 광우병 같은 프리온 질병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여러 퇴행성 뇌질환들의 배후에는 변형된 단백질의 축적이 있다며 이 문제의 해결이 치료법을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