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09
말벌은 사람 머리를 집중적으로 공격하는데 이에 대해 일본 곤충학자인 마사토 오노
교수
는 1997년 펴낸 책 ‘말벌의 과학’에서 진화론으로 설명했다. 즉 벌집을 공격할 만한 동물은 곰 같은 대형 포유류밖에 없었을 것이고 말벌이 강력한 독침을 갖게 진화한 것도 이런 공격에서 집을 방어하기 ... ...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09
영국 물리학자 토머스 영도 상쇄간섭을 동료학자들에게 이해시키는 데 애를 먹었다”는
교수
님의 말씀이 생각났다.간섭현상은 광자(빛)의 중첩상태가 깨지는 순간 사라진다. 중첩상태가 깨질 때는 광자의 위치 정보를 알아냈을 때다. 토머스 영의 이중슬릿 실험에서 볼 수 있는 간섭무늬도 빛이 ... ...
정밀공학
과학동아
l
201209
1 정밀공학이란 무엇인가요? 정밀공학은 영어로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으로 정밀생산공학이라고도 할 수 있다. 표면을 매끄럽게 만드는 것에서부터 마이크 ... 위한 기계)를 다루는 기업들, 현대자동차 같은 자동차 업계로도 취직 할 수 있다. 혹은
교수
로 대학교에 임용되기도 한다 ... ...
바닷물에서 에너지 얻는 해파리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9
.해파리를 닮은 로봇이라는 말이니?우리는 미국 버지니아공과대학교 요나스 타데스
교수
팀이 해파리를 본떠 만든 로봇 ‘로보젤리’예요. 커다란 우산을 쓰고 있고 촉수가 나 있죠. 촉수로 물살을 젓거나 우산을 오므렸다 펴면서 해파리처럼 헤엄칠 수 있어요. 몸은 휘거나 꺾어도 원래 모습으로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
수학동아
l
201209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이 같은 내용을 스페인 바스크지방대 수학과 하비에르 바라요
교수
가 소개해 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게르니카는 피카소의 1937년 작으로, 1937년 4월 26일 스페인의 작은 도시 게르니카를 독일군이 무차별 공격해 1500여 명의 사상자를 낸 사건에 대한 분노를 표현한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209
‘스파이더맨 장화’가 등장했기 때문이다.이탈리아의 물리학자 니콜라 푸그노
교수
는 게코 도마뱀 발바닥을 본 뜬 접착 물질을 개발했다. 게코 도마뱀 발바닥은 이중 솜털 구조로 돼 있는데, 솜털의 끝부분이 구부러져 있다. 이 때문에 게코 도마뱀은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벽면에 잘 달라붙을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8
꼭꼭 숨어라~! 발가락 보일라~.”안녕? 난 수원청개구리라고 해. 나랑 술래잡기하지 않을래? 가위, 바위, 보! 내가 이겼다. 지금부터 네가 술래야. 어서 날 찾아봐~!먼저 내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 ... 친구들의 도움이 꼭 필요해요! ”장이권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생명과학과
교수
... ...
[수학뉴스] 돌고래는 뛰어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208
선형방정식으로는 거품에 의해 흩어진 주파수를 바로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레이튼
교수
는 돌고래도 특별한 초음파탐지기와 같은 능력을 지녔을 거라고 결론을 내렸다. 본능적으로 비선형 방정식을 이용해 거품벽에 흩어져 알아보기 힘든 초음파를 복원한다는 것이다.그는 “고래의 이러한 특성을 ... ...
가슴 뜨거웠던 7일간의 기록, 국제수학교육대회
수학동아
l
201208
1학년 학생들에게 화상을 통해 프랙탈에 대한 수학수업을 진행했다. 제니 케이지
교수
는 화상을 통해 학생들에게 프랙탈 이미지를 보여 준 다음, 질문하고 답하는 문답형 수업을 했다.한국의 전통놀이에서 수학을~!행사장 입구에는 한국의 전통의복인 한복을 입고 전통놀이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이 ... ...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
과학동아
l
201208
부드럽게 넘어 갈 수도 있고. 안드레 마조레니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는 지난달 텀블위드가 화성에서 움직일 때 가장 다양한 방향으로 멀리 이동할 수 있는 설계에 대해 발표했어. 보통 지름이 길수록 바람을 많이 받고 무게가 작을수록 가벼워서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할 수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