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칙하게 보여주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實在) 하는 것이 아니라는 칸트파까지 가세하며 논쟁은 더욱 혼란에 빠졌다.이 논란은 2018년 1월 케빈 너드슨 미국 플로리다대 수학과 교수가 경제지 포브스에 빨대의 구멍은 1개라는 내용의 기고문을 발표하고 나서야 종식됐다. 너드슨 교수는 위상수학의 개념을 빨대에 적용해 설명했다. 빨대는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가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남북거리가 일정히 유지된 지도가 가장 정확하다고 판단해 공개했어요.연구팀은 2007년 개발된 골드버그-고트 지수를 근거로 들었어요. 골드버그-고트 지수는 지구를 평평한 종이로 옮길 때 발생하는 6가지 오류(지도상의 거리, 구부러진 정도, 편향성, 경계 절단, 면적, 형태의 왜곡도)를 점수로 ... ...
- [과학 뉴스] 편지를 열면 부스러진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헤이그에 있는 한 우편 보관함에 있던 오래된 편지들을 조사했지요. 보관함에는 1700년경 유럽 전역의 편지 3148통이 있었고, 그중 열어볼 수 없는 편지는 577통이나 됐어요. 종이가 너무 낡아서 손으로 직접 펼치다가는 부스러져 원본이 손상될 위험이 있었거든요.연구팀은 고해상도 X선으로 접힌 ... ...
- [이달의 과학사] 1932년 4월 4일 괴혈병을 막는 비타민 C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식물즙과 동물의 부신에서 분리한 ‘헥수론산’이 괴혈병을 막는다고 추측하고, 1930년부터 실험을 시작했어요. 비슷한 시기, 미국의 생화학자인 찰스 글렌 킹도 같은 실험을 진행했죠. 둘은 모두 기니피그를 대상으로 실험했는데,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와 기니피그만 체내에서 비타민 C를 생산하지 ... ...
- [기획] ESG 성적,과학적으로 매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투자자에게 더 외면받게 될 테니까요. 그러면 기업의 지속가능성은 떨어지겠죠. 또, 1년에 한 번씩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다른 평가기관과 달리, 인공지능은 매우 빨라서 하루 2번씩 ESG 관련 정보를 제공한답니다 ... ...
- [JOB터뷰] 종이로 꿈을 펼치는 페이퍼 아티스트 이재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저의 적성에 맞는다고 생각했지요. 본격적으로 페이 퍼 아트 작업을 시작한 지는 이제 1~2년 정도 되었어요. 현재는 사라져가는 동물들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Q‘사라져가는 동물’을 주제로 작품을 만드는 이유가 있나요? 종이가 발명된 이유가 기록하기 위해서였잖아요. 기 록이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가짜뉴스,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유독 널 리 퍼져있는 가짜뉴스랍니다. 왜 이런 가짜뉴스가 퍼 지게 된 걸까요? 1932년 7월 1일 자 동아일보 [선풍긔 ㅼㅐ문에 죽엇 다 잘ㅼㅐ에주의]라는 기사에는 술 먹고 선풍기를 틀 어놓고 자다가 그대로 죽어버린 사례가 있다며 주의 하라는 내용이 실렸습니다. 실제로 누가 어디서 봉변 을 ...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다수가 원하면 거래에 참여할 수 있어서다. 이와 달리 이탈리아 비탈릭 부테린이 2015년에 내놓은 이더리움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참여자에 제한을 둘 수 있다. 한 명(또는 기관)의 주체가 허가한 참여자만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방식이다. CBDC는 이를 발행하는 중앙은행이 민간은행이나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그리고 주제별 프로그래밍 교육 자료를 제공합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생까지 학년별 추천학습 과정도 있습니다. 미션1생활안전 국민행동요령을 알려주는 인공지능 만들기 ➊ 엔트리 홈페이지(https://playentry.org/)에 접속해 로그인합니다.➋ 엔트리 ‘작품 만들기’로 들어간 뒤 ... ...
- [이달의 수학자] 정수론 난제의 해결사,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을 일부 증명했습니다. 2015년에는 80여 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로 ‘1과로 이뤄진 무한수열의 합은 임의의 정수보다 크다’는 내용의 에르되시 불일치 추측이 불가능함을 증명했습니다. 현재까지 타오는 300편이 넘는 수학 연구 논문을 발표했고, 1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