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쇠붙이 지녔다고 반드시 나쁜것 아니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여름
이 되면 낙뢰로 숨지는 사람이 많다. 인각의 피부는 1백볼트 정도의 전압에 대해서는 절연체가 되나 그 안쪽의조직은 전기가 통하기 쉬우며 머리에서 발바닥까지의 저항은 불과 3백 옴뿐이다. 낙뢰에 있어서는 절호의 통로인 셈이다. '가까이에서 번개가 칠 때는 몸에 지니고 있는 금속류를 ... ...
여기는 땅의 끝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듬뿍 머금은 구름이 최고 해발 4천m나 되는 파타고니아 안데스에 부딪친다.이 때문에
여름
에도 눈보라가 3주간이나 계속되는 수가 있는 것이다. 태평양 쪽의 빙하 옆에서 하늘을 바라보고 있으면 기상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어 마치 기상 교과서를 한장한장 넘기고 있는것 같다. 아득한 서쪽의 대양 ... ...
즐겁고 유익한
여름
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비스듬히 흐르는 은하수(우리말로는 용이 사는 내라는 뜻에서 미리내)를 따라 내려오면 '
여름
철의 큰삼각형'과 잇닿은 삼각형의 독수리자리와 궁수자리를 볼 수 있다. 은하수의 끝에 이르면 S자를 길게 늘여뜨린 모양을 한 전갈자리를 볼 수 있으며 그 한가운데 붉게 빛나는 1등성인 '안타레스'가 ... ...
PARTㆍ3 전력생산에서 레저활동까지 내수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불과해 1사람이 쓸 수 있는 수자원은 넉넉치 못함을 알수 있다. 더우기 강우의 3분의 2가
여름
의 홍수기에 내리는데 자연의 변덕스러움으로 인해 때로는 폭우가 쏟아져 인명을 앗아가며 때로는 오랫동안 비가 내리지 않아 벼농사를 망치게 한다. 기우제나 각 지방의 하천주변의 방수제(防水堤)를 ... ...
PART2 격렬하고 짧거나,평온하고 긴 두가지의 생존방식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태양의 수백배에 달하며 지구의 공전궤도에 필적하는 1억km 의 반경을 가진 것도 있다.
여름
밤 전갈자리에서 붉게 빛나는 '안타레스'는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적색거성의 예이다. 적색거성은 반경이 크기 때문에 평균밀도는 매우 낮다. 반면에 극히 고밀도의 중심핵은 체적으로는 전체의 1조분의 1에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저녁밥을 함께 먹고 있다. 모퉁이 부근의 휴게실에는 나이 지긋한 남녀들이 '서울 1987년
여름
' 이라는 흘러간 영화를 보고 있다.고객유치에 신경쓰는 기업체로 휴양지의 풍경처럼 보이지만, 이곳은 사실 병원이다. 여기에서 사람들은 어머니의 배에서 밖으로 나온다. 병원에서는 사람들의 출생 ... ...
5천년 전에는 분명히 만났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7월7일은 칠석날이다.
여름
밤의 은하수의 양쪽에 갈라져있던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번 만나는 날이다. 이 전설은 오래전부터 전해져 오는 것이다.실제의 직녀성(거문고 자리의 베가별)과 견우성(독수리 자리의 알타이르별)은 16억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그리고 칠석날에 가까이 접근하여 데이트를 ... ...
중앙기상대장 손 형 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갖는 날씨나 기후에 대해 미리 알고 싶은 심정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그래서 당장 금년
여름
의 장마와 무더위에 관해 물어보았다. "기상대에 있다 보니까 날씨전망에 관한 질문을 많이 받게 됩니다. 또 겨울이 따뜻해졌다, 오존층이 파괴된다, CO₂의 양이 변화한다느니해서 우려하는 말도 자주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물이 취수장에 들어갈때 1㎠ 크기의 구멍이 난 철망을 통과 하면서 불순물이 걸러진다.
여름
철에는 이단계에서 염소 소독을 한다. 그리고 다음단계가 정수장이다. 정수장에 들어간 물은 먼저 침사지에서 무거운것을 가라앉힌 뒤 혼화지로 들어간다. 여기서는 채 가라앉지않은 불순물을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태양은 중심부에서 3만광년(빛의 속도로 3만년 걸리는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여름
밤에 보는 은하수는 바로 이 은하계 원반의 한 단면이다. 18세기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암허셀'은 처음으로 태양이 은하계에 속하는 하나의 별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그는 태양이 은하계의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