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데이터
데이타
정보
data
소식
컨텐츠
내용
d라이브러리
"
자료
"(으)로 총 4,77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화와 e메일 바짝 따라잡은 메신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전체 인터넷 사용자 2천4백73만명 중 약 42.6%가 메신저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자료
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약 1천만명 이상은 메신저를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2002년 미국 닐슨//넷레이팅사에 따르면 미국 내 1억5백만명의 인터넷 사용자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카페인의 양은 연간 12만톤에 이르지만 지금까지 커피 과용으로 숨진 사람이 3명뿐이라는
자료
를 제시했다. 다만 카페인을 포도당으로 착각해 포도당 링거를 맞은 환자가 사망한 사례가 간혹 보고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의료진의 실수 때문이다. 도핑테스트에 대해서도 커피 10잔을 마셔도 이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솟아오르면서 무너진 것처럼 추정되는 특이한 붕괴지형도 보인다.갈릴레오의 자기장
자료
를 보면 유로파뿐 아니라 가니메데와 칼리스토도 표면 아래에 액체 바다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니메데와 칼리스토 주변의 자기장은 표면 아래에 전기적으로 전도된 층이 존재하고 있는 것처럼 변화한다 ... ...
한국인 행복 사이즈 실현하는 Size Korea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마다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차원 스캔
자료
로부터 인체 각 부위에 대한 치수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실루엣이나 특정 부위의 3차원 형상도 얻을 수 있다 ... ...
최첨단 비행체 시뮬레이션이 탄생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계산격자에서 얻어진
자료
를 1백여대의 PC에 나눠 보내 분석한다. 이렇게 얻은 개별
자료
를 한데 모아 가상공간에서 벌어진 풍동실험을 해석한다. 권 교수는 “이런 해석 방법을 병렬 컴퓨팅이라고 부르는데, 기존의 슈퍼컴퓨터보다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며 “계산격자로 나누고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있다. IRAS는 1983년부터 10개월 동안 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탐사했는데, 여기서 얻은
자료
는 아직까지도 천문학 연구에 많이 쓰이고 있다.가장 최근의 예로는 유럽우주국(ESA)에서 주도해 만든 ISO(Infrared Space Observatory)가 있다. 이것은 직경 60cm의 주경(primary mirror)을 갖춘 2천4백kg짜리 ...
케이블 벗어난 인터넷을 지켜라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모두 잃어버린 사건이 떠올랐다. ‘이것도 바이러스인가’하는 불안함에 핸드폰의
자료
를 살펴보니 다행이 모든 데이터가 그대로 남아 있다. 이 대리는 6년 전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던 시대에 바이러스로 고생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이제 무선 인터넷 세계가 됐으니 바이러스 걱정은 없겠구나 하던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설명해주시죠.도킨스(D팀): 20세기 전반에 수행된 협동에 관한 연구들은 많은 양의 경험적
자료
를 축적하긴 했지만 불행히도 협동이 어떻게 진화하는지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키지는 못했습니다. 1960년대 초까지만 해도 조류학자 에드워즈 식의 엉성한 집단선택 이론이 널리 퍼져있었죠. 예를 들면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가 어떻게 작용하고 그 이점이 무엇인가를 알기 쉽게 설명한
자료
를 배포하고 있다. 그 결과 일반 시민들도 환경정화용으로 개발된 포플러를 구입해 집주변에 심는 등 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가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매년 4월이면 돌아오는 식목일. 이 무렵이 되면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하고 있다. 현재 우주에서 활약중인 자외선우주망원경 갤렉스가 앞으로 3년 동안 관측한
자료
는 이런 연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그는 많은 양의 논문을 쓰는 사람이 아니다. 한편을 쓰더라도 제대로 된 논문을 쓰려고 하는 완벽주의자다. 네이처, 사이언스, 천체물리학저널 등에 80여편의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