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장치"(으)로 총 4,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 미래 선도할 로드맵, 국가나노기술지도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8.07.09
- 개발 등 주로 환경과 관련이 깊다. 수소연료전지와 차세대 태양광 발전, 고감도 정수장치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마지막 목표는 '건강하고 안전한 삶'이다. 초소형 내시경, 인공장기, 고기능 공기청정기 등이 개발 목표다. 미세먼지는 물론 바이러스도 제거하는 우수한 성능은 오직 나노기술로만 ... ...
- 뇌-유전자-우주의 비밀...스타 과학자 5人에게 듣는다 '사이언스 바캉스 2018'과학동아 l2018.07.06
- 무언가를 선택하는 동안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뇌파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를 이용해서 확인하는 분야다. 뇌-기계 인터페이스(BMI·사람이 선택하면 로봇이 대신 행동하는 기술)나, 인간의 뇌를 닮은 인공지능(AI)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 그는 “뇌공학 연구가 앞으로 미래사회에 어떤 ... ...
- 코뿔소 수정란, 체외 배양 최초 성공...멸종위기 막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7.05
- 보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a)연구팀이 코불소 난자를 채취하기위해 장치를 성치했다. b) 코뿔소 난소의 초음파 사진 c) 코뿔소 난소의 색을입힌 가상이미지 d)코뿔소의 난자 -Leibniz Institute for Zoo and Wildlife Research 제공 한편 북부흰코뿔소와 같은 멸종위기 종의 보존을 위해 수정란을 ... ...
- 풍뎅이 껍질에서 아이디어...초미세 레이저 기기 탄생동아사이언스 l2018.07.04
- 한 방향으로 직진하는 빛을 다발로 모아 통제하면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장치를 머리카락 두께 크기의 공 모양 캡슐에 넣었다. 이렇게 완성된 기기는 몸 안에 자유롭게 주사할 수 있으며, 빛의 방향과 강도, 그리고 파장까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크기가 작고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금속 생명체 탄생 가능할까… 트랜스포머동아사이언스 l2018.06.29
- 기술이 극단으로 발전한다면, 트랜스포머들이 새로운 모습으로 바꾸기 위해 특수한 변신장치 속에 들어갔다 다시 나오는 식으로 연출하는 경우엔 과학적 개연성이 조금 더 높아진다 볼 수 있을 듯 싶다. 사실 이보다 큰 문제는 ‘코어’에 있다. 코어는 영화 트랜스포머에 등장하는 로봇들을 ... ...
- [2018 과학기술연차대회] 4차산업혁명 핵심 자율주행차 기술, 어느 수준?동아사이언스 l2018.06.27
- 4차산업혁명에서 민감한 개인정보들이 사이버상에서 움직인다"며 "정보보호를 위한 법적 장치와 이를 바탕으로하는 보안기술이 수반돼야한다"고 제안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2018.06.26
- 두 센서가 보낸 정보를 팔죽지의 환상 손 지도의 대응하는 위치에 전달될 수 있게 장치를 구성했다. 예를 들어 의수의 엄지와 검지가 끝이 뾰족한 물건을 집는 순간 표피의 센서가 신호를 보내면 이를 진동수 10~20헤르츠, 펄스폭 20밀리초의 전기자극으로 변환해 팔죽지 앞쪽 정중신경으로 보낸다. 그 ... ...
- 세계 최초 MRI 장갑과학동아 l2018.06.21
- 의대 방사선과 선임연구원 팀은 손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장갑 형태의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개발해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5월 4일자에 발표했다. New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제공 1. 미국 뉴욕대 의대 연구진이 개발한 MRI 장갑. 2. MRI 장갑을 착용한 왼손의 모습. 3. MRI ... ...
- “메시지 읽으면 스르륵” 저절로 녹아 사라지는 반도체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8.06.21
- 암호 전달 장치가 등장한다. 증거를 남기지 않고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런 장치에는 ‘일정 시간 뒤에 스스로 파괴되는 반도체 소자’가 필수인데, 최근 국내 연구팀이 이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윤진수, 한정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연구원팀은 물에 잘 녹는 특성을 지닌 플라스틱 ... ...
- 엘리베이터에 물결무늬 그리면, 전화 끊길 염려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8.06.20
-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해 적용하기 어려웠다. 반면 UNIST 연구팀의 방식은 특수 환경이나 장치가 필요없으며, 단지 무늬의 크기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통과하는 전파의 주파수 범위까지 조절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평면에 새겨넣은 사인곡선 무늬(왼쪽). 위쪽은 절연체 위에 무늬를 그려넣은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