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뉴스
"
저널
"(으)로 총 3,062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년드림]“누가 ‘왕관’ 씌워주지 않아… 꿈을 당차게 말하라”
동아일보
l
2014.02.25
입사해 2004년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올랐다. 16년 만이다. 2005년 아시아월스트리트
저널
(AWSJ)이 선정한 ‘아시아에서 주목할 만한 10대 여성 기업인’ 중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그는 “부족함을 알고 하나씩 배워간다는 자세로 공부하다 보니 어느새 CEO 자리에 올라 있었다”고 ... ...
쌍둥이 소수 추측, 서서히 결말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4.02.24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그의 논문은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발간하는 수학
저널
에 실려 많은 수학자들의 찬사를 받았다. 그런데, 그로부터 1년도 지나지 않은 작년 말에 더욱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다. 영국 옥스퍼드대를 갓 졸업한 26살의 제임스 메이나드가 쌍둥이 소수 추측의 결말에 거의 ... ...
암세포 쉽게 판독하는 수술용 영상장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디스플레이(HMD)’ 기술이 적용된 수술용 특수 안경을 개발했다고 ‘생의학 광학
저널
’ 최신호를 통해 밝혔다. 이 영상장치는 수술 중 암세포가 달라붙어 있는 조직과 정상 조직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일반적으로 종양 제거 수술을 하기 전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이용해 종양의 ... ...
광우병 유발 단백질이 기억의 핵심물질이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자극해 장기기억능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오픈액세스
저널
‘플로스 바이올로지’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앞선 2012년 초파리 실험을 통해 Orb2 단백질이 장기기억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Orb2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 ...
[에디터 칼럼] 황우석과 씻김굿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풀어낸 기사를 실었다. 그렇지만 각기 다른 날 수암생명공학연구소를 방문한 두
저널
기자는 공교롭게도 황 박사가 유리창 너머에 있는 기자에게 헤드셋에 달린 마이크를 통해 “지금은 굉장히 위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하며 복제 개를 자궁에서 꺼내는 같은 작업 장면을 봤다. 언론 앞에서 ... ...
이스라엘에서 연구 외에 딴 생각했다간...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라이든대 과학기술연구센터에서 발표하는 전 세계 대학평가 중 ‘영향력 있는
저널
에 논문을 등재한 비율’이 있는데, 이 부문에 바이츠만 연구소가 매년 상위권에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츠만 연구소는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QS에서 지난해 발표한 ‘2013년 교수 1인당 논문 ... ...
피부과 레이저기기로 문화재 복원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07
백자 등에 침투한 염분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지난해 ‘
저널
오브 컬처 헤리티지(Journal of Cultural Heritage)’에 발표했다. 보통 바다에서 인양한 도자기는 오랜 시간 바닷속에 있었기 때문에 염화나트륨 같은 수용성 염 결정들이 붙어 있다.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 ...
그래핀과 리튬배터리가 만나면...
동아사이언스
l
2014.02.03
노트북, 전기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A(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최신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흑연과 비슷한 결정 구조를 가진 한 개 층의 그래핀은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이번 기술은 양의 전하를 ... ...
핵폭탄 폭발, 수학으로 알아본 대처법은?
수학동아
l
2014.01.28
해결해주었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의 마이클 딜런은 영국 과학
저널
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대피 시간’에 대한 수학적인 모델을 제시했다. 딜런은 생명체가 살아남을 수 있는 0.1Kt이상 10Kt미만의 낮은 위력의 핵폭탄이 투하되는 것을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성공을 거둔 한 과학자에 대한 이야기다. 이건
저널
리즘 활동이지 과학적 지지가 아니다. 그리고 황 박사가 인간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고 주장한 첫 논문-지금은 철회된-이 나온지 10년이 되는 걸 계기로 기획된 것이다. 기사는 이 불명예스러운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