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50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느질 없이 1분이면 절단 신경 봉합하는 패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현장에서 수술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26일 온라인 게재됐다. (왼쪽부터) 손동희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신미경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박종웅 고려대 의대 교수. 한국연구재단 ... ...
사라지고 있는 산호초 4년만에 '완전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복구 프로젝트를 통해 4년만에 건강한 산호초를 형성시킨 연구결과를 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현대 생물학’에 공개했다. 손상된 산호초 군락은 생각보다 빠르게 복원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을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구조물 이용한 산호 재건 프로그램...4년만에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멸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변화 요소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직접 체감될 정도의 기후변화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생물 멸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확인되면서 생물종을 보호하는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불임·난임 임신 기회 커질까…체외수정란 기술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0
여성도 아이를 가질 수 있는 시대가 머지않아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8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부모가 아닌 쥐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다음 부모쥐의 피부세포에서 추출한 핵으로 대체했다. 그런 뒤 부모쥐의 피부세포 핵을 심은 난자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조용히 '멸종'하고 있는 심해상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0
가오리 7종 중 1종이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사이언스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8일 한 상어가 유유히 바닷속을 헤엄치는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눈동자는 초록빛을 발하며 번뜩이고 입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빨이 뾰족뾰족 날이 서 있다. 그런데 어쩐지 우리에게 익숙한 ... ...
노란 소변 속에 숨겨진 장내미생물의 비밀
과학동아
l
2024.03.09
유로빌리노겐으로 전환하는 ‘빌리루빈 환원효소’를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4-023-01549-x) 장내 BilR 유전자 발견 빈도 - 미국 메릴랜드대 연구팀은 신생아 황달 발병률이 가장 높은 생후 0일~89일 사이 신생아의 장에서는 BilR 유전자를 가진 ... ...
'원전 사고' 체르노빌서 방사선 영향 안받은 벌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방사성 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은 벌레가 발견됐다. 미국 뉴욕대 연구팀은 5일 국제
학술
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체르노빌 지역에서 방사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됐는데도 DNA가 손상되지 않은 선충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1986년 4월 26일 새벽 1시 24분 체르노빌 북서쪽 원자력 ... ...
[표지로 읽는 과학] 2050년 홍수 위험에 처하는 미국 도시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변화와 해수면 상승에 따라 예상되는 홍수 위험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6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육지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수직운동 데이터, 육지 고도 데이터, 해수면 상승 예측 데이터를 결합해 미국 주요 해안 도시 32곳의 잠재적인 침수 면적을 예측했다. ... ...
영화 '듄' 모래벌레 닮은 실제 벌레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8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따르면 모래벌레의 특징은 다양한 종류의 벌레들에게서 관찰된다. 왕털수염갯지렁이는 외형은 귀밑머리가 있고 큰 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모래벌레와 비슷하다. 초기 캄브리아기 지구에 ... ...
알 낳는 양서류, 새끼에게 모유 먹이는 모습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시포놉스 아눌라투스(이하 시포놉스)’가 모유와 같은 성분을 분비한다고 8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동물마다 엄마로서 갖는 본능이 있다. 알을 낳는 동물은 새끼가 영양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양분으로 채워진 알을 낳는다. 포유류는 새끼가 발을 딛고 스스로 활동할 수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