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연구소"(으)로 총 3,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2015.11.30
- 1911년 11월 18일 영국의 스코트가 드디어 남극점에 도착했다. 하지만 그곳에는 이미 노르웨이 국기가 꽂혀 있었다. 나흘 전인 14일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센이 이미 남극점에 도착한 것이다. 비록 ‘최초’라는 타이틀은 놓쳤지만 살을 에는 추위와 눈보라를 뚫고 남극점에 도착한 스코트 역시 위대한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입자빔을 쏘아 충돌시킴으로써 온도를 올리는 고속입자빔 방식이다.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가 만든 대형 강입자충돌기로는 7경℃까지 온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한다. 또 한 가지, 핵융합로가 초고온 플라즈마를 과연 어떻게 버틸 수 있을까. 첫 번째 비밀은 자기장에 있다. 플라즈마 상태는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2015.11.24
- 금년도 실험에서는 30초간 고성능 플라즈마 상태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올해도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필요한, 그리고 플라즈마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300초에 한걸음 더 다가갈 예정이다. 과학자들은 인간의 생애주기처럼 이론적으로 플라즈마의 타임스케일을 300초라고 ... ...
- 파이(π)와 함께 춤을...2015.11.23
-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 ...
- 신규원전이 중심이 된 원전산업 클러스터, 해외에서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및 해체 등을 주요 관심사로 하는 알스톰과 EDF 등 총 163개 기업(2013년 8월 기준)과 연구소, 6개 대학 캠퍼스가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 생존율이 전국평균보다 훨씬 높은 3년 이후 68.6%에 이르며 유럽 원자력부문의 전문가들이 많이 종사하고 있다. 초정밀 철강전문가, 금속 및 기계공학에서부터 ... ...
- 신규원전으로 알고 싶어진 에너지 시설에 대한 오해 BEST 5!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강도 역시 전투기가 정면충돌해도 문제없을 정도다. 실제로 1988년 미국 샌디아국립연구소(SNL)가 중량 27톤의 팬텀 전투기를 시속 800㎞의 속도로 격납건물에 충돌시키는 실험을 실시한 결과, 전투기는 산산조각 난 반면 격납건물은 깊이 5㎝ 정도가 파손되는 데 그쳤다.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을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5] 본격 플라즈마 실험 시작2015.11.18
- 모두 끝나면 KSTAR는 다시 내년 운전을 준비하며 긴 휴식에 들어갑니다.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연구자들은 종종 KSTAR의 플라즈마 실험을 1년 농사에 비유하곤 합니다. 정해진 기간 동안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지 못하면 다음 해에 실험을 시작하기 전까지 연구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인데요. ...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IBS l2015.11.18
- 조직을 구성할 수 있도록 융합시켜주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 2014년 9월 일본 이화학연구소에서는 노인성 망막황반변성증 환자의 피부세포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얻은 뒤 망막세포로 만들어 환자에게 다시 이식하는 시험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이러한 사례처럼 줄기세포를 이용해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위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1990년대 중반 오 단장은 영국 케임브리지대 뉴턴연구소에서 한 학기 동안 방문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플로어 상동성을 아놀드 추측 이외에 사교위상수학의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또한 추상적으로 정의된 플로어 상동성을 통해 '플로어 ...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2015.11.16
- 안 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