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가지고 외국과
공동
으로 수행하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고,천문대는 인공위성 연구센터와
공동
으로 소형 적외선 분광 관측용 인공위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현재 우리의 경제 능력이나 과학 임무 수행 능력을 볼때 독자적인 우주망원경 제작과 발사,그리고 대형 지상 망원경의 건설은 당분간 어려울 ... ...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공로로 1962년
공동
연구자 크릭 그리고 킹스 칼리지의 윌킨스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결국 과학 발견의 우선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두 연구집단 모두가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이 과정에서 가장 불행한 사람은 프랭클린이었다. 1958년 38살의 젊은 나이에 백혈병으로 ... ...
생명의 기원은 바다가 아닌 대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최신호에 따르면, 미국 해양대기국(NOAA)의 애드리언 턱 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국제
공동
연구팀은 현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작은 물방울의 구성물질 절반 이상이 유기물이라는 사실에 착안해 이 물방울들이 DNA나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연구팀은 그 이유를 2단계로 ... ...
2. 가속기가 열어온 입자물리학 50년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995년 3월 2일 미국 시카고 근교에 있는 페르미 국립가속기연구소는 톱 쿼크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멘델레예프가 원자들의 주기율표를 ... 이론의 검증을 위해 새로운 가속기가 유럽에서 건설되고 있으며 21세기에도 인류
공동
의 과제를 풀기 위해 새로운 입자 가속기가 계속 건설될 것이다 ... ...
Ⅱ. 우주의 모든 신호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계획 단계에 있지만,더 많은 망원경을 하나로 묶어서 초기의 우주를 연구하려는 국제
공동
프로젝트인 SKA계획도 있다.이런 계획들이 실현된다면 21세기에도 전파천문학은 계속 우주의 미지의 세계를 탐색하는 최일선에서 그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 ...
e북의 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비해 높였다고 한다. 또한 사이몬과 슈스터, 랜덤하우스와 같은 대형 출판사와
공동
으로 전자책 사업을 할 것이라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ClearType 기술은 고가인 컬러액정이 달린 HPC에서만 효과를 발휘한다.PDA로는 Palm Pilot가 대표적으로 이를 이용한 전자책이 1999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렸다. PDA는 ... ...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대장정의 첫 결실로서, 미국 국립보건원의 주도 아래 10여년간 전세계 3백50여 연구기관이
공동
으로 참여해 30억 달러라는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한 결과다. 나머지는 앞으로 3년 후인 2003년에 공개될 예정이다. 인간게놈의 완전해독은 이미 초읽기에 들어간 셈이다.인간게놈구조가 밝혀짐에 따라 ... ...
② 농업 : 슈퍼옥수수와 씨감자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지난 6월 15일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남북
공동
선언이 발표되면서 남북한의 교류와 협력 방안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경제분야는 물론 사회 각 분야에서 교류가 확대되려는 가운데 과학기술분야에서도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2001년에 슈퍼옥수수 개발 ... ...
④ 생태 : 백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것이다. 따라서 분단 50년 동안 보존돼 온 비무장지대의 생태를 지키기 위해 남북한간
공동
조사가 매우 절실하다.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이번 정상회담 때 진돗개와 풍산개를 선물로 주고받았다. 남과 북을 대표하는 진돗개와 풍산개의 교류처럼 생태분야도 원활한 교류가 이뤄질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조절의 복잡성에도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인간게놈 프로젝트의
공동
참가국인 프랑스 지노스코프의 크롤리우스 박사는 인간과 복어의 염기서열을 비교해보면 그 숫자는 더 작아진다고 주장했다. 두 염기서열을 비교해서 동일한 유전자가 포함된 부분을 찾아내는 형식으로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