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베이징인과 야쿠자의 추억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야쿠자의 본거지에 잠입하려고 합니다’일본 도쿄 남쪽 가나가와현에서
박사
후 연구원 생활을 하고 있을 때였습니다. 어느 날 모르는 사람에게서 메일을 받았습니다. 야쿠자를 조사하는 데 평생을 바친 기자라고 자신을 소개한 그는, 바로 다음주에 야쿠자 입회식이 있는데 그곳에 함께 ... ...
“대학 교수와 함께 연구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명사의 초청강연도 들을 수 있다. 지난 5월에는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앤드류 파이어
박사
를 초청해 강연을 들었다. 뿐만 아니다. 전(前) 현대중공업 사장을 비롯해 과학 관련 대기업 CEO의 강연도 들을 수 있었다. 대진고 학생들의 더 높은 도약이 기대된다 ... ...
2012 뉴칼레도니아 탐사대 모집 썰렁홈즈 비밀퍼즐을 맞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모두 갈 수 있대! 한국해양연구원 박흥식
박사
님과 ‘SOS! 애니몽’ 홍승우 작가님, 섭섭
박사
님도 만날 수 있다니 난 꼭 갈꺼야~! 뉴칼레도니아에서는 어떤 사건이 날 기다리고 있을까? 흐흐흐~.도움 : 뉴칼레도니아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구조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도 있다. 2011년 4월 료타 카나이 영국 런던대 인지신경과학과
박사
팀은 정치적인 성향과 뇌의 영역별 부피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90명의 학생자원자를 받아 설문조사를 통해 극단적인 자유주의자부터 ... ...
슈퍼 목성 발견되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정면으로 반박하는 행성이 나타났다.데인 커리 캐나다 토론토대 천문학및천체물리학부
박사
후 연구원팀은 미국과 유럽, 아시아 천문학 기구와 진행한 공동연구를 통해 카파 안드로메다 근처에서 거대한 행성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카파 안드로메다는 안드로메다 별자리에 있는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사용할 신물질을 찾기 위해서다.이 곳에는 쿤밍에서 12년 동안 식물을 연구해온이상우
박사
가 5년째 센터장으로서 중국 농업과학원 연구원들과 함께 우수한 약용식물을 찾기 위해 공동으로 채집을 진행하고 있다. 민족식물학을 전공한 이 센터장은 중국 소수민족을 비롯해 인간이 사용하는 식물을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데 22년이 걸린다. 지난 2010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 태양물리학부장인 리처드 피셔
박사
는 “11년마다 흑점의 수가, 22년마다 태양 자기장의 에너지가 최고에 달하기 때문에 2013년에 강력한 태양폭풍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또 하나의 근거는 지금까지 거쳐온 태양활동 극소기다. 우주환경 ... ...
“성공은 ···· 기다림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말했다. 바로 고등학교로 갔기 때문이다. 시카고대를 졸업한 뒤 콜롬비아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말은 한국어와 영어가 다 유창하지만 글 쓰는 것은 오히려 영어가 더 편하다고 한다. 그런데도 과학동아를 구독한 이유를 물었더니 “사진이나 일러스트가 너무 좋아서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물질이라도 표면적이 훨씬 넓고 세공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장종산
박사
는 “다양한 금속 이온과 리간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수만 종류의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조립 완구 레고와 같다”고 설명했다. 블루케미스트리가 최소한의 물질로 효과를 배가시키는 ... ...
아무리 추워도 얼지 않는다! 결빙방지단백질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구한다고 해요.결빙방지단백질 대량 생산의 길 열리다이런 상황에서 극지연구소 김학준
박사
팀은 결빙방지단백질의 효능을 연구하고 대량생산 가능성을 열었어요. 연구팀이 이용한 것은 북극 효모(Leucosporidium sp.)예요. 북극 효모 역시 영하의 얼음 호수에서 살아남기 위해 약 4.2×10-20g의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