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패턴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어떤 불편한 증상을 느끼고 약을 찾게 될 때, 내 생활의 어떤
부분
이 이런 증상을 만들어 내는지 조금만 관심을 갖고 관찰해 보자. 더 효율적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반복적으로 복용하는 약만이라도 이름과 성분 그리고 나에게 어떤 효과와 부작용이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기능을 보면 위의 설명이 꽤 설득력을 지닌다. 먼저 전전두엽은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부분
이다. 또 측두엽에는 기억에 중요한 기관인 ‘해마’가 자리 잡고 있다. 즉 이 영역들은 과거의 경험을 기억해내고 이를 토대로 미래에 일어날 일들을 상상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이도준 교수는 “다들 ... ...
오빤, 나보다 그게 더 중요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갈등을 회피하고 강한 감정을 억누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소년이 눈여겨 본
부분
은 서로 다른 유형이 만나는 경향이었습니다. 안정형끼리는 서로 만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회피형 남자는 주로 긴장형 여자를 만나는 경향이 있다고 나와 있는 겁니다. 소년은 너무 깊은 관계 맺기를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중심으로 지각 표면에 얇은 얼음 층이 생긴다. 외부에서 바라본 지구는 건조하고 붉고,
부분
적으로 희게 반짝이는 얼음이 덮인 화성 같은 모습이 된다.››› ‘납작 동물, 키다리 식물’의 기묘한 세계생명은 다른 방향으로 진화했을 것이다. 리처드 도킨스는 ‘현실, 그 가슴 뛰는 마법’에서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날아가려고 할 때 겉날개를 열어 속에 접혀 있는 뒷날개를 펼친다. 겉날개와 몸통이 닿는
부분
이 닫고 있을 때는 단단히 고정돼 있지만 날려고 할 때는 매우 쉽게 떨어진다. 딱정벌레 접착제는 이런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서갑양 교수가 최근 관찰하기 시작한 것은 잠자리다. 수놈이 암놈에 붙을 때의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상상의 산물이다’라는 주제다.“사실 창조론자들이 생물학 교과서에서 진화론
부분
을 빼라는 요청은 오래 전부터 있었던 일입니다. 다만 이번에 그 주장이 받아들여졌다는 게 문제죠.”‘한국진화학회추진위원회(이하 진추위)’를 만든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장대익 교수의 말이다. 장 교수의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레독스 플로 배터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배터리는 전기저장 공간과 전압방출
부분
이 분리돼 있기 때문에 액체 탱크만 추가로 연결하면 충전량을 얼마든지 늘릴 수 있다.]이 때는 블랙아웃이 벌어지는 것과 반대의 순서로 전력망을 조금씩 살려 나가야 한다. 우선 발전소와 연결된 외부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있다면 배외측전두엽은 새로운 자극이 들어왔을 때 이를 처리하려고 한다. 따라서 이
부분
에 문제가 생기면 새 자극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하던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저장강박증 치료에 심부뇌자극술이라는 것이 있다. 문제가 있는 뇌 회로를 직접 교정해주는 방법이다.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몸에 주입한 다.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감마선을 측정하면 뇌의 어느
부분
이 활동하는지를 그려낼 수 있다.1990년 미국 AT&T 벨연구소의 세이지 오가와 박사팀은 MRI(자기공명영상)를 이용하면 더욱 정밀하게 뇌 활동을 관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뇌가 활동할 때는 많은 산소를 필요로 ... ...
꿈과 맞는 진로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학원에 다니는 것은 돈낭비다. 단어와 독해를 스스로 충분히 공부하자. 그런 다음 모자란
부분
이 있다면 학교 선생님께 질문하거나 인터넷 강의나 학원을 이용하는 것이 순서다.상담 선생님은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교과서나 문제집만 봐서는 과학을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