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명"(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 있게 만들면 된다”며 “배터리 등의 부품은 접히지 않는 부분에 배치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폴더블폰 출시의 열쇠는 디스플레이를 접었다 펼 수 있게 양산하는 데 있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에 재직하는 동안 폴더블폰을 양산하기 위한 기술 개발 과정 전반을 이끌었다.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나왔다면 현재 정상 상태라 해도 향후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환자군에서 그 분포가 월등히 높은 장내미생물이 있다면 그 장내미생물을 질병 여부를 알려주는 마커로 활용할 수 있다. 반대로 건강한 사람에게 많고 환자에게 없는 미생물도 선별해낼 수 있다.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화학반응 과정을 마치 동영상처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동역학 연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일본과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초당 펄스 수가 60번,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운용하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LCLS)는 120번 수준이다. 에벨링 팀장은 “E-XFEL을 포함해 전 세계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fs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한다”며 “그 외에는 적합한 인간 유전자를 찾아 돼지의 유전자에 끼워 넣는다”고 설명했다. 사실 원숭이나 고릴라 같은 영장류가 돼지보다 이종장기 개발에는 훨씬 유리하다. 가령 돼지 대신 고릴라나 오랑우탄의 장기를 쓴다면 초급성 거부반응은 생기지 않는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알파갈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증자에 대해 들었던 정보들이 종합돼 마치 알던 사람처럼 느끼는 감정일 뿐이라고 설명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셀룰러 메모리 가설은 여러 드라마와 영화의 소재로 사용됐습니다. 2015년 JTBC 드라마 ‘순정에 반하다’, 2016년 SBS 드라마 ‘사랑은 방울방울’ 등은 모두 심장 이식을 소재로 하고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능력은 뇌과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됐고, 뇌 영역과 기억 기능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습니다. 뇌과학자들은 이런 사례를 통해 ‘뇌의 영역별 역할을 실험으로 확인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 동물 뇌의 특정 부위를 절제해 행동 변화를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눈길을 끄는 대목으로 시작해 논리적으로 내용을 풀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자기소개서를 통해 논리적인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평가받기 때문이다. 2018학년도부터는 자기소개서에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밑줄이나 굵은 글씨로 표시 할 수 있어 이를 적절히 잘 활용할 필요도 있다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모렐 교수가 연구한 시무라 다양체는 매우 까다롭습니다. 거기에 너무 추상적이라 설명하기도 어려운 코호몰로지가 붙었으니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도 손사래를 칠만큼 난해하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모렐 교수의 연구는 온갖 난해한 기술적 문제를 극복해 만들어진 성과입니다. 특히나 이 ...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면 중에서 평평하고 나름 규칙적으로 보이는 면을 찾아 사진을 찍어봅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방법대로 선분과 수직이등분선을 그리면, 정말 놀라운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기하게도 두 껍질에는 이미 진한 갈색으로 점이 찍혀 있습니다. 그리고 진한 녹색 선이 껍질을 나누고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홍 교수님은 직접 여러 로봇들을 시연해 보이며 로봇의 특징과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셨어요. “기존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왜 이렇게 느리고 잘 넘어질까요? 사람처럼 걷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걸을 때 골반이 흔들립니다. 돌림힘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사람과 달리 로봇은 돌림힘을 ... ...
이전291292293294295296297298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