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통
총체
보편
전반
일반담보
담보
일반심리학
d라이브러리
"
일반
"(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무대 누비는 KAIST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자격은 무엇인가? 아직 시작하지 않은 입학전형은 2차와 3차다. 약 759명을 뽑는 2차 전형(
일반
전형)의 대상은 2011년 2월에 국내 고교 2년 수료예정으로 KAIST의 과학영재선발위원회로부터 지원 자격을 인정받는 학생이나 고교를 졸업할 학생이다. 2차 전형에 합격한 학생은 2011년 2월에 입학한다. 약 7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에너지 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일반
적으로 시판되는 염료는 여러 염료성분이 섞여있다. 또한 각 염료 성분은 흡수하는 빛의 파장이 다르다. 시판되는 염료를 이용한다고 가정하여 논해보시오. 전문가 클리닉 1) 화합물의 구조와 빛의 관계를 ... ...
첨단 융합기술의 산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마케팅 분야에서는 소비자 행동분석, 마케팅 전략을 배운다. 국제경영 분야에서는
일반
경영 분야와 연계해 국제 마케팅, 국제재무관리, 글로벌 경영 전략을 배운다.대학원에서는 테크노경영학의 세부 분야 중 한 가지를 선택해서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테크노경영과 관계된 인간 및 기업 활동에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신뢰성 높은 자료를 얻으려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과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 그리고
일반
화의 범위를 정하는 일 모두가 일정한 기준과 근거로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 팀을 실험심리학이나 인지과학을 전공한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이들은 과학적인 방법으로 사용자의 마음과 행동의 원리를 ... ...
퀘이사가 만드는 중력 렌즈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포함한 은하의 질량을 구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의의를 설명했다.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외부 은하에서 오는 빛이 지구로 오는 길목에 질량이 큰 물체가 있다면 빛은 둘로 갈라진다. 따라서 지구의 관측자는 실제보다 확대된 두 개의 은하를 볼 수 있다.빛이 휘는 정도에 따라 렌즈 ... ...
내 물리 실력 한눈에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문제로 지적받는 ‘대학교의 학점 인플레 현상’도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같은
일반
물리학을 듣고 A대에서 B학점을 받은 사람과 C대에서 B학점을 받은 사람의 물리 등급이 다르다면 어느 대학교가 학점을 후하게 주는지 알 수 있다. 전문 과정을 잘 활용하면 취업에도 물리인증제가 도움이 ... ...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온순하고 안전한 셈이다.김한겸 고려대 구로병원 병리과 교수는 경기 오산시 가장2
일반
산업단지에서 5월 발견된 미라 두 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7월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한국의 미라는 거의 무균상태에서 보관됐다. 관의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유입된 세균을 제외하면 병원성 세균은 발견할 수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분사시켜 연소율을 높인다. 공기와 연료를 미리 섞은 뒤 나중에 실린더 내로 분사시키는
일반
방식보다 배기가스가 적고 연비가 높은 장점이 있다.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로 직접 터빈을 돌리는 가스터빈 엔진도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가스터빈 엔진은 내연기관과 달리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상황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작용한다. 만일 개발자와 사용자의 멘탈모델이 다르다면?
일반
사람들의 멘탈모델은 휴대전화에서 ‘OK’ 또는 ‘확인’키가 가운데에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애니콜’은 대부분 이 키가 오른쪽에 있다. 대부분의 휴대전화는 같은 키가 가운데 있는 것과는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깨진다. 때문에 물 분자가 쉽게 흥분하질 못한다. 하지만 36℃ 이상이 되면 물도
일반
액체와 비슷해진다. 이렇게 물의 비열용량이 큰 덕분에 지구는 온화한 기후를 유지할 수 있다. 뜨거운 태양빛을 받아도 쉽게 데워지거나 차가운 겨울이 되어도 쉽게 추워지지 않는 것이다. 비열이 크지 않았다면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