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시간의 시작과 끝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높았지만 팽창하면서 식고 있다. 한편 우주 배경복사의 온도는 정밀하게 측정해보면
하늘
에서의 위치에 따라 10만분의 1도 정도로 미세한 차이가 있다. 우주 배경복사 온도의 공간적인 변화는 밀도 변화를 나타내므로, 이는 우주 초기에 밀도가 높고 낮은 지역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밀도가 높은 ... ...
정월대보름의 계수나무와 옥토끼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중에서도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동산 위로 오르는 대보름달을 맞는 달맞이다.맑은 겨울
하늘
에서 휘영청 밝은 달을 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일이지만, 유독 대보름달은 제일 먼저 바라보는 사람의 소원을 이루어 준다는 믿음이 있었다. 보름달은 우리에게 그 크기만큼 포근한 마력을 내품고 있다 ... ...
호킹이 설명하는 태초의 우주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이는 정말 기가막힌 해석이 아닐 수 없다.북극에서는 북쪽이라는 방향조차 없다.
하늘
방향이 북쪽은 아니기 때문이다. 북극에 서있는 사람에게 동쪽이나 서쪽으로 가라고 해도 그 자리에 머물 수밖에 없다. 동쪽이나 서쪽도 없기 때문이다. 북극에서는 오로지 남쪽이라는 방향만 존재한다. 북극에 ... ...
코뿔소가 변한 외뿔소 자리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10등급으로 어두운 편인데, 상황에따라 1-2등급정도 밝아질 가능성이 크다.이달 내내 서쪽
하늘
물고기자리를 남북으로 가로질러 움직인다. 1월 31일과 2월 1일에 나선은하 M33 서쪽 2.5°정도로 가까이 통과한다. 이후 달빛이 밝아 보기가 어려워 13일 이후에는 천체 망원경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이 ... ...
베르누이가 말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싣고 4백여명의 승객을 실은 보잉 747점보 여객기의 경우 3백50t의 무게가 나가지만 거뜬히
하늘
을 날고 있다. 무엇이 거대한 기체를 공중에 뜨도록 만든 것일까.구부린 지붕이 편평한 지붕보다 더 위험한 것처럼 비행기 날개의 앞부분은 둥근 곡선이고 아래는 대체로 평면이므로 뜨는힘(이하 '양력')을 ... ...
3. 역사 속에서 사라진 날짜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됐다. 태양의 위치가 시리우스의 방향과 일치하면, 해뜨기 직전에 시리우스가 동쪽
하늘
에 보이게 된다. 나일강은 시리우스의 출현과 함께 범람하게 되는데, 이집트인은 이 때를 1년의 시작으로 삼았던 것이다. 범람이 반복되는 주기는 정확히 1태양년의 주기와 일치한다.고대 이집트력은 한달을 3 ... ...
4. 나스카의 문양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열기구의 곤도라가 땅에 닿자마자 두사람이 뛰어내리니 갑자기 가벼워진 열기구는
하늘
로 다시 올라갔다. 모두 14 분을 날았다.이 실험으로 나스카인들이 어떻게 거대한 문양을 그릴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은 어느정도 풀렸다. 그러나 나스카인들이 정말 그런 방법을 사용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 ...
쥐라기 공룡 만들어낸 조지 칼리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쉽게 볼 수 없는 이리듐이 많이 있었다. 당시 운석 충돌 때문에 지구에 검은 먼지가
하늘
을 뒤덮는 핵겨울과 같은 것이 발생했을 것으로 본다. 또 당시에 멕시코 정반대쪽에 있는 파키스탄에서 대화산폭발이 있었는데 이 역시 운석충돌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공룡화석을 발굴해본 ... ...
5. 바벨탑의 전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바벨탑의 규모가 도대체 얼마나 되길래 신들조차 두려워했는지 알고 싶어했다.
하늘
까지 오르려면 어떤 구조로 건설해야 하는지는 더욱 궁금한 일이었다. 중세시대의 삽화를 보면 상상력으로 그린 바벨탑이 여러가지로 등장한다.그러나 바벨탑은 상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실재로 존재하는 ... ...
허풍선이 사냥꾼 오리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자신의 별자리다. 12월에는 태양이 궁수자리 근처를 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밤
하늘
에는 궁수자리가 보이지 않고 대신 반대편에 있는 쌍둥이자리가 보인다.황도12궁은 약 3000년전 바빌로니아 지방에서 유래한 것으로 당시에는 춘분점의 위치가 물고기자리와 일치했다. 그러나 세차운동으로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