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의사 이명주씨의 남극 체험수기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곳이다. 그래서 인간의 때가 묻지 않은 대자연이 존재할 수 있다.너무나 맑아 푸르른
하늘
, 쏟아질 것만 같은 별, 붉게 물들어 오는 저녁놀을 보면 영화의 한 장면 같다. 유빙 위에서 장난치고 있는 펭귄의 모습도 또한 빼놓을 수 없다. 만년빙 위를 오토바이(스키두)를 타고 쌩쌩 달릴 때면 영화 속의 ... ...
코뿔소가 변한 외뿔소 자리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10등급으로 어두운 편인데, 상황에따라 1-2등급정도 밝아질 가능성이 크다.이달 내내 서쪽
하늘
물고기자리를 남북으로 가로질러 움직인다. 1월 31일과 2월 1일에 나선은하 M33 서쪽 2.5°정도로 가까이 통과한다. 이후 달빛이 밝아 보기가 어려워 13일 이후에는 천체 망원경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이 ... ...
1. 시간의 시작과 끝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높았지만 팽창하면서 식고 있다. 한편 우주 배경복사의 온도는 정밀하게 측정해보면
하늘
에서의 위치에 따라 10만분의 1도 정도로 미세한 차이가 있다. 우주 배경복사 온도의 공간적인 변화는 밀도 변화를 나타내므로, 이는 우주 초기에 밀도가 높고 낮은 지역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밀도가 높은 ... ...
2. 시험불안 고3병의 정체는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마주치지 않으려는 회피행동을 유발한다.고소공포증: 높은 건물이나 비행기를 타고
하늘
에 떠있는 것을 불안해 한다.광장공포증: 집을 떠나는 것에 대한 공포가 있어 슈퍼나 백화점에 가는 것을 두려워 하고 회피하며, 극장이나 운동 경기장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넓은 장소에 가는 것을 ... ...
정월대보름의 계수나무와 옥토끼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중에서도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동산 위로 오르는 대보름달을 맞는 달맞이다.맑은 겨울
하늘
에서 휘영청 밝은 달을 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일이지만, 유독 대보름달은 제일 먼저 바라보는 사람의 소원을 이루어 준다는 믿음이 있었다. 보름달은 우리에게 그 크기만큼 포근한 마력을 내품고 있다 ... ...
쥐라기 공룡 만들어낸 조지 칼리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쉽게 볼 수 없는 이리듐이 많이 있었다. 당시 운석 충돌 때문에 지구에 검은 먼지가
하늘
을 뒤덮는 핵겨울과 같은 것이 발생했을 것으로 본다. 또 당시에 멕시코 정반대쪽에 있는 파키스탄에서 대화산폭발이 있었는데 이 역시 운석충돌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공룡화석을 발굴해본 ... ...
3. 역사 속에서 사라진 날짜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됐다. 태양의 위치가 시리우스의 방향과 일치하면, 해뜨기 직전에 시리우스가 동쪽
하늘
에 보이게 된다. 나일강은 시리우스의 출현과 함께 범람하게 되는데, 이집트인은 이 때를 1년의 시작으로 삼았던 것이다. 범람이 반복되는 주기는 정확히 1태양년의 주기와 일치한다.고대 이집트력은 한달을 3 ... ...
5. 바벨탑의 전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바벨탑의 규모가 도대체 얼마나 되길래 신들조차 두려워했는지 알고 싶어했다.
하늘
까지 오르려면 어떤 구조로 건설해야 하는지는 더욱 궁금한 일이었다. 중세시대의 삽화를 보면 상상력으로 그린 바벨탑이 여러가지로 등장한다.그러나 바벨탑은 상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실재로 존재하는 ... ...
허풍선이 사냥꾼 오리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자신의 별자리다. 12월에는 태양이 궁수자리 근처를 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밤
하늘
에는 궁수자리가 보이지 않고 대신 반대편에 있는 쌍둥이자리가 보인다.황도12궁은 약 3000년전 바빌로니아 지방에서 유래한 것으로 당시에는 춘분점의 위치가 물고기자리와 일치했다. 그러나 세차운동으로 ... ...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그리고 우리 조상들은 나무를 어떻게 생각했기에 이처럼
하늘
에서 인간세상으로 내려오는 통로로 생각했을까? 왜 세계수의 일종인 서낭나무나 당산나무는 과학문명이 맹위를 떨치는 오늘날까지 신처럼 섬기고 맹목적인 믿음의 대상으로 삼고 있을까?이러한 의문에 답을 찾기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