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변화
여럿
여러
종류
변종
스페셜
"
다양
"(으)로 총 3,7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
2017.09.24
사람들에 비해 자극추구 성향과 에너지 수준이 다소 낮아서 항상 어떤 자극(야외활동,
다양
한 모임 등)을 찾아 다닐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같은 활동을 해도 외향적인 사람들에 비해 배터리가 빨리 줄어들어 더 빨리 쉴 필요를 느끼는 것과 관련을 보인다. 지나친 활달함과 높은 에너지 수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지도가 식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수준이었다. 지금도 나팔꽃은 원예식물의 모델로
다양
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지난 수년 사이 대유행하고 있는 3세대 게놈편집기술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을 원예식물에 적용할 때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험해보기 위해 나팔꽃의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물리학에 대해 소개했다. 초저온 원자의 진동 및 회전 자유도 특성으로 인해 알게 된
다양
한 사실들이 소개됐다. 또, 초저온 상태에 이른 원자를 움직이지 않게 잡아두기 위한 ‘광학 격자’와 양자가스현미경은 초저온 상태 원자의 위상을 관찰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가져왔다는 평가다.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분석 결과를 내놨다. 라이트 교수는 “식물 잎의 크기는 1㎟에서 1㎡에 이르기까지
다양
하며 전 세계 10만 여종에서 모두 다르다. 이번 연구는 차세대 식물 모델을 제공한 것으로 식물 대사의 주요 요소를 새롭게 설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이런 생각을 하게 된 데에는 과학이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진화심리학과 뇌과학이
다양
한 측면에서 남녀에서 보이는 행동의 차이를 ‘설명’하면서 남녀의 전형을 구축해왔다. 그런데 최근 몇몇 과학자들이 이런 설명들이 그다지 과학적이지 못하다는 연구결과를 속속 발표하면서 과연 우리가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생긴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소넨버그 교수는 “현대 도시인의 장내미생물
다양
성 부족은 섬유질이 부족한 서구화된 식습관이 주원인이라는 증거가 밝혀진 것”이라며 “장내미생물은 사람이 섭취한 음식에 반응해 하루, 심지어 수 시간 내에 크게 변화할 수 있는 만큼 식습관을 바꿔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
2017.08.26
있었는데, 여기에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모양이다. 딱 한 가지만 혐오하는 사람보다
다양
한 약자를 두루두루 혐오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노골적으로 대놓고 하는 인종차별이 옛날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겠지만, 이 연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대사도 예외는 아니라는 말이다. 장내미생물 입장에서도 오늘날 인류가 섭취하는
다양
한 생체이물 가운데 다수는 낯선 분자들이다. 실제 우리 몸 안에서는 소화에서처럼 생체이물을 대사하는데도 인체의 시스템과 장내미생물의 시스템이 이중으로 작동하고 있다. 두 시스템의 작용이 서로를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09
에릭 호르비츠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자는 “그나마 좋은 소식은 AI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다양
한 학과, 산업계 그리고 시민단체가 힘을 모아 AI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의견을 내고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
2017.07.05
중요한데 스스로에게 말을 함으로써 문제를 명료화하고 또 대화 형식을 취함으로써
다양
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작가처럼 창조적인 일을 하는 사람일수록 내적 언어 회로가 발달해있다고 한다. 영국의 소설가 버니지아 울프는 1941년 59세로 자살하기 직전 환청에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