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산
회계
셈
산출
원가계산
원가
합산
d라이브러리
"
계산
"(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삼각형은 왜 영어로 'triangle'이라고 부를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10월일까? October도 원래는 8월을 의미했다. 그런데 고대 로마에서 3월을 새해 첫째 달로
계산
해 8번째 해당하는 달이 October였다. 하지만 3월 앞에 1월과 2월을 도입해 새해 첫 달을 1월로 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October는 8번째 달에서 10번째 달로 밀려나게 됐다 ...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20% 할인을 하는 B매장이 이득이란 거죠. 물론 끼워팔기 방법이나 할인율에 따라
계산
은 달라질 수 있으니 꼼꼼히 따져 보는 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끼워팔기를 할인율로 바꾸는 공식을 준비했습니다. 하지만 업체 입장에서는 하나라도 더 팔 수 있는 끼워팔기 방식이 이득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해 그것들 모두가케플러의 방식보다 효율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계산
했다. 이로써 증명 끝(QED). 하지만 누군가는 프로그램에 오류가 없고, 컴퓨터 하드웨어에 오류가 없고, 입력과 출력에 오류가 없다는 점을 확인해야 한다.‘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라는 저명한 수학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엔진을 연구합니다. 초음속 흡입구의 특성에 관한 이론 연구는 물론이고, 모델 설계와
계산
그리고 이를 확인할 실험을 수행하죠.”보통 항공 우주용 엔진은 크게 로켓 엔진과 공기흡입식 엔진으로 분류한다. 내부 산화체로 연료를 연소시켜 추진력을 얻는 형태가 로켓 엔진이다. 거대한 불기둥을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밝혀 낸 최초의 과학자이다. 정부가 설립한 천문대의 대장을 맡고 있던 케틀레는 뉴턴의
계산
값에 근거해 행성을 관찰하던 도중 실수로 오차가 계속 발생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오차값을 확인해 본 결과 일정한 분포의 패턴이 나왔는데 이는 오늘날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라고 알려진 종형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관찰한 별빛을 토대로 추정한 왜소은하의 질량과, 다른 천체와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계산
한 질량을 비교해 보면 큰 차이가 난다. 즉 별을 토대로 한 왜소은하의 질량은 실제 질량의 10% 정도에 불과하다. 어떤 왜소은하는 빛을 내는 물질이 전체 질량의 1%가 채 안 되는 경우도 있다. 반면 우리은하 ... ...
항공우주추진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예를 들어 제트엔진 연소실 내부의 기체의 이동을 직접 실험해보고 이를 컴퓨터로
계산
하거나 분석한다. 대부분의 연구는 여러 산업체 또는 연구 기관과 협력해 이뤄지므로 연구원으로서 프로젝트 수행을 경험하기도 한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졸업생들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국방과학연구소 ... ...
안전한 세상, 수학이 지킨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일상생활 속에는 우리가 눈치채지는 못하지만 곳곳에 안전을 위한 설계가 자리잡고 있다. 이 중에는 수학적인
계산
을 통해 최적의 안전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병뚜껑에 숨겨진 비밀에서 신호등 시간까지. 우리를 안전하게 지켜 주는 수학의 소중함을 발견해 본다.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병뚜껑의 톱니 수는 왜 21개? 음식점에서 시원한 콜라를 주문하면 항상 병따개가 따라온다. 꺼끌꺼끌한 콜라병의 뚜껑을 따려면 병따개를 대고서 약간 힘을 ... 고속도로에선 흰색 실선 하나의 길이가 10m, 간격도 10m이므로 흰선 5개 사이의 거리를 100m로
계산
하면 안전거리를 가늠하기 쉽다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분모, 분자에 같은 수를 곱해도 몫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소수점을 똑같이 옮겨서 바로
계산
한다.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와 '분수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는 서로 구별된다. 0.75와 같은 소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다. 분자 혹은 분모가 음수일 때는 분수라고 하지 않고 '분수의 꼴'로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