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핵미사일을 명중시켜 소행성을 산산조각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방법을 가장
마지막
에 선택해야 할 최후의 방법으로 본다. 조각난 소행성의 진로가 어떻게 바뀔지 몰라 지구에 새로운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방사능 낙진이 지구에 피해를 줄 수도 있다.천문연 문홍규 연구원은 “현재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3번 외계인은 벽 80㎝ 앞에 놓여 있고, 60㎝ 크기의 촛불이 외계인 60㎝ 앞에 놓여 있다.
마지막
4번 외계인은 벽 1m 20㎝ 앞에 놓여 있고, 1m 20㎝짜리 크기의 촛불이 인형 60㎝ 앞에 놓여 있다. 벽에 비춘 그림자가 다음과 같을 때 가장 큰 외계인은 몇 번이겠는가? 이번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지구를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언제나 그 거리를 공이 구르는데 든 시간의 제곱에 비례했다’고 썼다. 갈릴레오는
마지막
에는 좀 더 정확을 기하기 위해서 자신의 맥박을 재는 대신 가는 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측정해 시간을 재기도 했다.갈릴레오는 경사면 실험으로 거리가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등가속도운동 법칙을 ... ...
낙타 17마리 나누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2인 9마리를 큰아들에게, 남은 9마리의 낙타 가운데 18마리의 1/3인 6마리를 둘째 아들에게,
마지막
으로 남은 3마리의 낙타 가운데 18마리의 1/9인 2마리를 막내아들에게 줬다. 이제 남은 것은 현자가 타고 온 낙타 한 마리였다. 현자는 자기 낙타의 고삐를 잡으며 말했다.“여러분의 아버님께서는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한다. 찾아낸 어둥굴차자스키우여곡절 끝에 살아남은 썰렁 홈즈. 그런데 어떻게 된 일?
마지막
동굴을 통과하고 나니 화려한 건물이 하나 나타나는 게 아닌가? 사실 그 동굴은 고대부터 내려오던 황제들의 휴식처였던 것이다. 어둥굴차자스키는 그 곳에서 황제 같은 삶을 살고 있었던 것이다. 믿거나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있지 않습니다.’초원이의 인간승리를 지켜보며 뭉클한 감동에 젖어있는 관객들은
마지막
장면이 끝나고 화면에 나타나는 글을 읽으며 안타까움이 더해진다. ‘첨단 과학의 시대에도 원인조차 밝혀져 있지 않다니···.’“지금까지 자폐증의 원인에 대한 학설은 많이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들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여러 판을 움직이는 장치야. 둥근 운전대를 돌리면 지구의 역사에 맞춰 판이 움직이는데
마지막
에는 인도판이 아시아판과 부딪혀. 그래서 히말라야 산맥이 생겼다고 하는데 그것까지 만들어지지는 않더라. 하하.‘찡그린 모나리자’ 봤니? 남이 만든 것 말고 네가 직접 만들어 봤냐구. 난 이번에 해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200~300회 이상 일어났다”고 말한다. 100만년에 2~3번 꼴로 지자기 역전이 일어났던 셈이다.
마지막
으로 지자기 역전이 발생한 것은 78만년전이었다. 막 걸어 다니기 시작한 인류 호모에렉투스가 돌로 도구 만드는 법을 익히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그 이후로 아직까지 지자기 역전은 한 번도 일어나지 ... ...
비행기 테러리스트 '뱅기믄 다자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5, 2, 6이다.세 번째 문제의 답마방진에 관한 문제로 가로와 세로의 합은 모두 15다. 따라서
마지막
칸에 들어갈 소화기의 수는 네 개다. 네 번째 문제의 답어지럽게 놓여 있지만 잘 관찰하면 낙하산을 찾을 수 있다. 추락한 뱅기믄다잡아추락한 뱅기믄다잡아썰렁 홈즈의 뛰어난 활약으로 비행기를 탄 ... ...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알갱이를 씻어내면 합성된 DNA는 실리카 표면에 붙어있고 다른 모든 불순물은 제거된다.
마지막
으로 합성된 DNA를 실리카 알갱이에서 떼어낸다.그런데 화학반응의 특성상 반응이 항상 100% 일어날 수는 없다. 따라서 화학합성법으로는 150개 이상의 염기를 갖는 긴 유전자를 합성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