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거예요. 마지막 나뭇가지부터 합격이라고 써진 나뭇가지를 따라 올라가면 합격의 조건을 알 수 있거든요.그런데 아직 나는 내가 어떤 일을 잘하는지, 내 적성이 뭔지도 모르겠다고요? 통계적으로 답을 구해 보면, 내가 시간을 가장 많이 투자하는 일이 내 적성에 맞을 가능성이 가장 높아요. 그만큼 ... ...
- [체험] 메리 크리스마스 코흐 눈꽃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몇 개일까? 일일이 헤아려 보면 정삼각형A는 9칸, 정삼각형B는 3칸, 정삼각형C는 1칸임을 알 수 있다. 정삼각형A에 들어 있는 작은 정삼각형은 총 81개, 정삼각형B에는 9개, 정삼각형C에는 1개가 들어 있다 ...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하지만 환상 나라에서 모험을 겪으며 내 안에 수학을 즐거워하는 마음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지. 너희들 생각은 어때? 정말 수학이 필요한 거니?”폴리스와 하루, 피타는 어떤 답변도 할 수 없었다. 그저 폴의 선택을 믿고 따르는 수밖에 없었다. 폴이 결심을 내린 듯, 가운데 떠 있던 무한대 기호로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복합기업이다. 산하 브랜드로 벨헬리콥터, 세스나항공기 등 누구나 이름만 들으면 알 법한 굴지의 항공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에서 그가 맡은 일은 역시 항공우주 분야 첨단제품을 개발하는 일이다. 당시 미국과 구소련(현 러시아)과의 냉전이 지속되며 각종 국방제품 수요가 많았다. 텍스트론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조 대표처럼 탈것을 만드는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이쯤 되면 조 대표의 꿈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기술적인 혁신을 바탕으로 오랜 관심분야였던 탈것을 만들어 보급하는 것. 탈것은 우리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분야로, 에디슨의 GE가 우리의 삶을 크게 바꿔 놓았던 것처럼 조 대표 역시 ... ...
- 신기한 바람개비 진동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않고 스피너 돌리기박사님, 다 만들었어요!그런데 종이 스피너가 정말 도는지 어떻게 알 수 있죠?이 나무봉으로 나무 막대의 홈을 긁어서 진동을 일으켜 보렴. 진동에너지가 종이 스피너를 돌리는 걸 볼 수 있을 거야.4 날개를 더 빨리 돌리려면?얘들아, 스피너의 날개를 더 빨리 돌릴 수 있는 방법은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생명정보학으로 연구 방향을 틀 때 고민을 했어요. 나름 쌓은 게 많았고 세계적으로도 알려져 있었는데 전공을 바꾸려니 당연히 망설여지죠. 그 무렵 한국에 오는 비행기 안에서 미국의 생명과학자 크레이그 벤터의 자서전을 읽었는데, 크게 와닿는 부분이 있더군요. 벤터도 원래 인슐린을 연구하던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평가하는 것이 관행이기 때문이다. “그 당시 저는 ‘우리 회사 이름만 들으면 다 알만한 회사가 되도록 노력해야지’하는 다짐을 했습니다.” 지금 정진은 변리사 업계에서는 이름만 대면 아는 회사가 됐다. 또 대학, 정부 출연연구소 등의 업무를 가장 많이 하는 특허사무소며, 바이오테크 분야를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투자자들에게 시나리오만 보고서 영화의 흥행 여부를 예측해 주는 회사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목을 끌었다.‘에파고긱스’라는 이름의 이 회사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해서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그 결과로 영화를 제작했을 때 벌어들일 수입을 예측한다. 하지만 헐리우드의 영화 제작사들은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훨씬 무겁고, 그 무게 차이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보석은 여자들만의 관심사인 줄 알았는데, 진위여부를 감정할 때 수학과 과학을 이용한다니 놀랍고 흥미로웠다.김선희 기자의 첨삭 포인트두 기자 모두 취재한 내용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잘 정리했어요. 김지원 기자는 배운 점과 느낀 점을 ... ...
이전292293294295296297298299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