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완전 해독이 꼽혔으며,
유전
자 치료를 받고 치명적 암이 발생한 프랑스인을 예로 들며
유전
자 치료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를 선정했다.이 외에도 바이오테러리즘, 윤리적 논쟁에도 불구하고 본격화된 줄기세포의 연구를 2002년 과학계의 최고 과학 이슈로 꼽았다 ... ...
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했다.하지만 생명의 비밀을 풀 수 있으리라는‘기대’는 곧‘실망’으로 바뀌었다.
유전
자만으로는 속시원한‘해답’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절반의 성공’이라 불리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진정한 완결은 단백질의 실체를 파악할 때 가능한 일이다.인체의 모든 단백질을 총체적으로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개선하기 위해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덕분에 얻은 별명이 ‘여장부’. 유 단장은 인간
유전
체기능연구사업단의 유향숙 단장과 함께 국내의 대표적 여성 생명과학자로 꼽힌다. 하지만 그는 별명과는 달리 연구 과정에서는 누구보다 꼼꼼하고 철저하기로 유명하다. 앞으로 10년 간 사업단을 이끌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에 따라 지난 2001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료됐고, 그 결과 인간은 약 3만여개의
유전
자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인간이라는 오케스트라의 악보가 전부 밝혀졌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악보만 있으면 오케스트라의 웅장한 감동을 느낄 수 없는 법. 실제 악기인 단백질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발표됨으로써 과학자들은 단백질을 만드는 밑그림인
유전
자 초안을 얻었다. 그러나
유전
자 초안이 곧바로 단백질의 구조 정보까지 말해주지는 않는다. 전통적인 실험 기법으로는 수년이 걸려야 한개의 단백질 구조를 밝힐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적인 방법으로 10만여개에 달하는 인간 단백질의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를 이용하면 원본과 똑같은지 확인할 수 있다.인간이 갖고 있는 DNA의 대부분은 아무런
유전
정보를 수록하지 않고 있는 염기서열로 돼 있다. 그런데 이 부분 중에는 2-5개 정도의 짧은 염기서열이 반복돼 있는 부분이 있다. 이를 극소위성(microsatellite)이라 부르는데, 극소위성에서 염기서열이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것이다. 특히 우생학적 목적의 인간복제 행위는 개인성의 존중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유전
적 속박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한편 인간복제는 인간사회와 가족, 그리고 복제에 의해 태어나는 아이에게 신체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인간복제를 인간에게 시도하는 것은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시작된지 겨우 5년 남짓한 신생분야다. 두 분야의 연구 결과는 상호 교환되고 있다.
유전
체학보다 훨씬 복잡하고 어려운 분야인 프로테오믹스는 이제 막 알에서 깨어나 큰 날개짓을 준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변환하고 이용하는지(생리 수준)를 주목하던 시대에서
유전
자의 정보를 밝히고 각
유전
자들이 어떤 단백질을 만드는지를 밝히는 (분자 수준) 시대로 발전돼 왔다. 이제는 생명체의 구성요소인 단백질과 이들 사이의 입체적이고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모습(네트워크)을 발견해 뇌의 신비와 암,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하여금 도덕적으로 행동하게 만든
유전
자가 보다 많은 자손을 남기게 해주었기에 ‘도덕
유전
자’가 지금도 우리의 양심을 괴롭히고 있는 것이다.새로운 윤리기준을 마련하는 일을 두려워할 이유는 없다. 새 포도주는 마땅히 새 병에 담아야 한다. 과학의 발달이 우리에게 너무 갑작스레 많은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