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하여금 도덕적으로 행동하게 만든
유전
자가 보다 많은 자손을 남기게 해주었기에 ‘도덕
유전
자’가 지금도 우리의 양심을 괴롭히고 있는 것이다.새로운 윤리기준을 마련하는 일을 두려워할 이유는 없다. 새 포도주는 마땅히 새 병에 담아야 한다. 과학의 발달이 우리에게 너무 갑작스레 많은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시작된지 겨우 5년 남짓한 신생분야다. 두 분야의 연구 결과는 상호 교환되고 있다.
유전
체학보다 훨씬 복잡하고 어려운 분야인 프로테오믹스는 이제 막 알에서 깨어나 큰 날개짓을 준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순수한 형태로 정제한 후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밝힌다. 수용성 단백질의 경우
유전
공학적 방법을 이용한 대량 생산이 비교적 용이하며 생산된 단백질을 정제하는 기술이 잘 확립돼 있다. 그러나 막단백질의 경우 아직 대량 생산 방법이 확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발현이 잘 되는 소수의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변환하고 이용하는지(생리 수준)를 주목하던 시대에서
유전
자의 정보를 밝히고 각
유전
자들이 어떤 단백질을 만드는지를 밝히는 (분자 수준) 시대로 발전돼 왔다. 이제는 생명체의 구성요소인 단백질과 이들 사이의 입체적이고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모습(네트워크)을 발견해 뇌의 신비와 암,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거의 제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감정을 위해 증거들이 연구실에 도착할 때쯤이면, 많은
유전
적 표지가 파괴된 후다.만약 범인이 사건현장에 남긴 혈액 자국을 모두 물로 닦아냈다면 21세기 형사들은 어떻게 했을까. 예를 들어 소설 속의 사건처럼 피해자를 집에서 살해한 후 피를 모두 닦아내고 나서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발표됨으로써 과학자들은 단백질을 만드는 밑그림인
유전
자 초안을 얻었다. 그러나
유전
자 초안이 곧바로 단백질의 구조 정보까지 말해주지는 않는다. 전통적인 실험 기법으로는 수년이 걸려야 한개의 단백질 구조를 밝힐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적인 방법으로 10만여개에 달하는 인간 단백질의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를 이용하면 원본과 똑같은지 확인할 수 있다.인간이 갖고 있는 DNA의 대부분은 아무런
유전
정보를 수록하지 않고 있는 염기서열로 돼 있다. 그런데 이 부분 중에는 2-5개 정도의 짧은 염기서열이 반복돼 있는 부분이 있다. 이를 극소위성(microsatellite)이라 부르는데, 극소위성에서 염기서열이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것이다. 특히 우생학적 목적의 인간복제 행위는 개인성의 존중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유전
적 속박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한편 인간복제는 인간사회와 가족, 그리고 복제에 의해 태어나는 아이에게 신체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인간복제를 인간에게 시도하는 것은 ... ...
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했다.하지만 생명의 비밀을 풀 수 있으리라는‘기대’는 곧‘실망’으로 바뀌었다.
유전
자만으로는 속시원한‘해답’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절반의 성공’이라 불리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진정한 완결은 단백질의 실체를 파악할 때 가능한 일이다.인체의 모든 단백질을 총체적으로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개선하기 위해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덕분에 얻은 별명이 ‘여장부’. 유 단장은 인간
유전
체기능연구사업단의 유향숙 단장과 함께 국내의 대표적 여성 생명과학자로 꼽힌다. 하지만 그는 별명과는 달리 연구 과정에서는 누구보다 꼼꼼하고 철저하기로 유명하다. 앞으로 10년 간 사업단을 이끌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