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
승용차
카
차량
오토모빌
탈것
수레
d라이브러리
"
자동차
"(으)로 총 3,13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종속이냐 자립이냐 앞으로 10년이 선택의 갈림길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독점화는 날로 심화될 것이다. 지금 아프리카의 한 후진국가가 아무리 발버둥쳐도
자동차
를 개발 생산 못하듯이 우리가 지금부터라도 우주기술을 개발 축적 못하면 2000년대에 들어서서도 통신위성 하나 못 만드는 우주기술 후진국이 되고 만다. 그런데 우리가 우주기술개발에 열을 올린다 해서 ... ...
인간능력과 기계의 결합 로봇이 지능을 갖추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산업용로봇은 실제로 여러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전자산업 등에서 운반 조립은 물론
자동차
산업에서의 용접 도장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스스로 작업환경을 이해 지능로봇이란 "감각 기억 또는 사고 등의 기능을 어느정도(?) 이상 갖추고 주어진 작업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이라고 ... ...
종합생산관리 전산시스팀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채택, 2~3명의 전산요원만으로도 시스팀 운용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주로 전자·전기 및
자동차
부품 및 기계조립 등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전산시스팀은 1천종의 제품, 1만개의 부품, 대공정 기준으로 20개의 공정, 기계수로는 5백대까지를 일괄공정체제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현재 이 ... ...
쌍용그룹이 인수한 스포츠카메이커 팬더카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매우 중요하다고 보겠읍니다." 팬더카를 운영하는 쌍용U.K. 김보웅 사장의 말처럼 한국
자동차
공업의 발전을 위해 팬더카의 경험과 기술이 한몫 기여해주어야만 하겠다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포기하여야할 상태로 갈 수도 있다. 우주산업은 분명 21세기에는
자동차
반도체산업을 능가하는 유망한 산업이 될 것이다. 발사체 수요는 급증할 것이고 우리가 발사체전체는 수출이 어렵다해도 부분체와 부품은 수출이 가능할 것이다. 과학위성개발 및 운용능력이 확보되면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보장은 없다. 자동변속장치를 갖춘
자동차
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이런
자동차
가 잇달아 사고를 일으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데 아직 확실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엔진 점화의 불꽃에서 생긴 전자파가 자동변속장치의 전자회로를 교란시킨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겨울철에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사항이다. FA는 과연 일자리를 빼앗나 "H
자동차
의 경우 일본에서 도입해 쓰고 있는
자동차
용접용 로봇이 25명의 용접공이 하던 일을 대신하고 있고 J사의 경우 술상자를 차에 싣고 내리던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6백여명의 임시 일용잡부들이 일자리를 떠나야 했다" 실업문제를 다룬 모일간지의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우수한 고급기능인으로 양성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산업체가 기계 철강 조선
자동차
전자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발전해가면서 기능대학이 배출하는 고급 기능인력 수요도 점점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생산현장에서 요구하는 만큼 인력이 공급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학 장기발전 ... ...
하늘에 가장 가까운 나라 티베트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우호도로가 완성되어 두 나라의 교류는 새로운 단계에 들어갔다. 잔무는 셰카르에서
자동차
로 하루거리다. 건조하고 벌거벗은 고원에서 3천m를 내려간 녹색의 계곡에 있다. 농도 짙은 공기와 후덥지근한 온기. 빨간 석남화와 흰 난꽃이 있는 곳. 하나의 다리가 두나라를 이어 놓고있다. 다리 이름은 ... ...
보다 장래성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신소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를 꼽는다면 △ 전자·정보·통신 △ 항공·우주 △
자동차
△ 의료 △ 세라믹스 △ 초합금 △ 복합재료 등이 있다. 학과로는 △ 무기재료공학과 △ 금속재료공학과 △ 응용공학과 △ 화학공학과 △ 물리학과 △ 금속공학과 등에서 신소재에 관한 공부를 할 수 있다.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