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동물 플랑크톤 일부는 빛을 내는 발광 기관이 있죠.”바다에 불을 비추자 먼지처럼 작은 생물들이 빛을 향해 몰려들었다. 촘촘한 망으로 바닷물을 걸러내 연구실로 가지고 간 이 연구원이 채집한 플랑크톤을 현미경으로 보여주자 여학생들이 소리를 질렀다. “징그러워요!” 동물 플랑크톤은 ... ...
- 고민하는 초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갈팡질팡하며 고민했답니다.사람도 아닌 곤충이, 게다가 너희처럼 작은 초파리가 고민을 하고 결정한다고? 사람이 결정을 할 때에는 뇌 속에서 충분한 정보를 모아 선택해요. 말을 하거나 어떤 것을 결정하는 행동에는 ‘FoxP’라는 유전자가 관련이 있지요. 연구팀은 이와 ...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작은 문 안으로 들어갔다. 그러자 서랍장 뒤 문 안에는 커다란 미로가 있었다.“창고처럼 작은 공간 안에 이런 미로가 있다니!”소마가 놀라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런데 그때, 날카로운 눈빛으로 미로의 길을 살피던 왕 반장이 소리쳤다.“그래! 아까 박 형사가 발견한 종이의 미로! 잉크가 미처 ...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매끄러워 공을 차거나 잡기 힘들었다는 결점도 보완했어요. 브라주카는 표면에 아주 작은 돌기가 잔뜩 나 있어서 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차기 쉽고, 골키퍼가 공을 잡을 때에도 미끄러지지 않아요. 공인구 속에 숨어 있는 빙글빙글 ‘카메라’선수가 공을 뻥! 찼을 때 날아가는 모습을 보면 기분도 뻥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스발바르섬에 초청했다. 참석자들과 함께 소형 비행기를 타고 있었는데, 누군가가 “이 작은 비행기에 장소 정보처리 연구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말해 모두가 함께 웃었다. 스발바르섬은 백야 기간이라 밤이 찾아오지 않았다. 우리의 토론도 끝을 모르고 이어졌다. 결국 이날 워크샵 참석자 중 세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싫은 소리를 하지 않아 모두가 행복해졌다는 이야기.세 번째로 작은 염색체 사람 염색체는 23쌍(46개)이다. 1번부터 22번까지 22개의 상염색체가 한 쌍을 이루고 있고, 마지막 23번째 쌍은 두 개의 성염색체로 구성돼 있다. 여성이 두 개나 갖고 있는 X 염색체는 전체 염색체 ...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있는 ‘소리빛’. 미디어아티스트 전병삼 작가가 2012년에 만든 미디어아트 작품이다. 작은 극장처럼 생긴 소리빛 전시관 안에는 높이 1m가량의 기둥이 일렬로 세워져 있다. 그 기둥의 윗부분을 손으로 두드리거나 입으로 소리를 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소리의 파동을 분석한 뒤 알록달록한 무늬로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네 종류가 있는데, 모두 탄소, 질소, 산소 대여섯 개가 오·육각형을 이루며 결합된 작은 분자에 불과하다. 아데닌과 티민, 구아닌과 시토신은 각각 두 개, 세 개의 수소를 매개로 결합된다. 부모의 DNA를 자손에 전달할 때, 이 결합이 끊어진다. 결국 생명의 핵심 원리인 유전은 바로 이들 원자 몇 개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수 있다. 만약 그 일을 찾았다면,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정도로 모든 것을 바쳐라.크기가 작은 장효과트랜지스터(FET)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전에는 실험장비가 너무 커서 동물 머리 위에 직접 달 수 없었다. 장비가 작아진 덕분에 살아있는 동물의 뇌에 직접 미세전극을 삽입할 수 있었다. 덕분에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현미경이 탄생하고부터다. 하지만 1994년 전까지 광학현미경은 200nm(1nm=10억 분의 1m)보다 작은 물체를 볼 수 없었다(아베 한계, PLUS 참조). 세포는 봤지만, 세포 소기관은 볼 수 없었고, 바이러스나 단백질은 꿈도 꿀 수 없었다. 수상자들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현미경의 해상도를 10배 가까이 끌어올려 이 ... ...
이전292293294295296297298299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