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스페셜
"
국제
"(으)로 총 4,846건 검색되었습니다.
[Q&A] '어린이 괴질'의 모든 것
2020.10.06
많이 발생한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와 이탈리아 로마대 의대 등이 9월 6일
국제
학술지 ‘셀’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MIS-C 환자의 평균 나이는 8.8세로 가와사키 병(평균 2세)에 비해 크게 높았다. 증상도 약간 달랐다(위 그림). 발진과 결막염, 림즈절염 등은 공통적으로 발견되지만, MIS-C는 ... ...
'간염부터 코로나19까지' 영원한 현역 찰스 라이스
2020.10.06
의대 조교수로 연구를 시작한 후 2001년부터 록펠러대에서 교수로 일했다. 현재도
국제
학술지 ‘플로스 병원체’의 편집인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필자소개 2008~2015 찰스 라이스 미국 록펠러대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C형 간염 바이러스와 뎅기바이러스와 반응하는 체내 ... ...
항공종사자 방사선 안전 나몰라라…1년간 엉터리 정보 제공하고도 까맣게 모른 부처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피폭선량이 기준치를 넘는 경우 의료 후속 조치는 의무다. 1973년
국제
방사선방호위원회(ICRP)에서 처음 제기된 이 원칙은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한 낮게(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ALARA·알라라)’ 원칙에 따라 그 시점부터라도 개인 피폭량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해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말벌, 북아메리카 접수할까
2020.10.06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깊숙이까지 퍼질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국제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22일자 온라인판에는 장수말벌이 태평양을 건너 북미에 상륙했다는 소식과 이들의 미래를 예측한 미국 워싱턴주립대 연구진의 논문이 실렸다. 물론 장수말벌이 그 먼 ... ...
WHO 전세계 10% 감염됐다는데 통계는 3500만명뿐…차이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제기됐다. 세바스찬 볼머 독일 괴팅겐대 개발경제학과 교수 연구팀은 앞서 지난 4월
국제
학술지 ‘랜싯 인펙셔스 디지즈스’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실제 감염자 수의 약 6%만 보고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45개국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내의 감염자 수 추이와 사망자 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발견부터 정복까지 드라마틱한 C형 간염 극복기
2020.10.06
non-B 간염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라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처음 입증했다. 1989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마이클 호턴 박사의 논문. 제목에 non-A, non-B 바이러스를 발견했다는 내용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사이언스 제공 ●2000년대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의 황금기 C형 간염 ... ...
[코로나19 연구속보] “실내에서 2m 떨어져 대화 나눠도 코로나19 감염 가능하다”
2020.10.06
프린스턴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여러 다른 문장들을 읽는 사람 입에서 나오는 작은 비말들을 레이저로 촬영해 비말들이 얼마나 빨리 또 얼마나 멀리 움직이는지 분석했다. 미국 프린스턴대 제공 실내에서 일상적인 대화만 나눠도 말하는 사람 입에서 나온 비말(침방울 ... ...
지카바이러스 실제 감염자수 공식 통계 125배 …전문가들 "코로나19 타산지석 삼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발표함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플루, 소아마비, 에볼라바이러스에 이어 4번째 ‘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하기도 했다. 지카바이러스는 초기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유행하다가 2015년 브라질에서 시작해 북미 지역까지 확산됐다. 당시 WHO 미주본부인 범미보건기구(PAHO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5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가 2020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하비 올터(85)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과 마이클 호턴 캐나다 앨버타대학 ... 목표를 달성하려면 혈액 검사를 늘리고 전 세계에서 항바이러스 약물을 쓸 수 있게 하는
국제
적 노력이 필요하다 ... ...
30년전 C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자, 코로나19와 싸운다
2020.10.05
눈길을 끈다. 수상자 중 한 명인 찰스 라이스 미국 록펠러대 교수(위 사진)는 올해 7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을 일으키는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MERS-CoV) 등 인체 감염 코로나바이러스의 면역 기능에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