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쥐 로봇'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04
박쥐를 모방한 로봇이 등장할 전망이다. 지난 3월 13일 미국 미시건대 카말 사라반디 교수는 5년간 미 육군으로부터 1000만 달러(약 100억 원)를 지원받아 길이 약 ... 진동에서 얻은 에너지로 충전한 리튬이온전지를 기본 동력으로 사용한다.‘박쥐’는 이르면 2012년
모습
을 드러낼 전망이다 ... ...
2030 바이오닉맨
과학동아
l
200804
것이라고 예측한다. 과학을 입고 신체의 각 부분을 업그레이드한 포스트휴먼은 어떤
모습
일까. 전문가들이 구상한 설계도를 하나씩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part 4 암기에서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04
아쉬울 때만 찾아오는 박각시나방봄이 되면 들판을 이리저리 옮겨가며 꽃을 찾는 곤충의
모습
이 정겹다. 식물은 꿀을 제공하고 곤충은 몸에 묻은 꽃가루를 퍼뜨려 수분을 시켜주는 다정스런 광경은 ‘공생’의 대명사다. 그런데 곤충이 꽃을 찾는 데도 철저한 계산이 숨어있다는 사실이 최근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04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대전시민천문대가 개관했을 때 가족들이 함께 찾아와 별 헤는
모습
을 보며 저자는 가슴이 뭉클했다고 한다. 천문대는 산꼭대기에 있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시내 한복판에 세워 누구나 부담 없이 별 보러 오는 문화를 만들고 싶다고 그는 말한다.잘못된 일본식 표현인 ... ...
오리온자리의 '말머리성운'
과학동아
l
200804
암흑성운으로 검은 말머리가 우뚝 솟아 있는
모습
이 인상적이다. 특수필터(Hα필터)를 사용해 성운의 세부를 잘 포착했다. 지난해 11월 8일 강원도 화천군에서 촬영한 홈즈혜성. 당시 홈즈혜성은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았다. 혜성의 꼬리가 희미하게 보인다.한국천문연구원,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04
세계평화를 상징하는 퍼포먼스도 벌인다. 이 씨는 유엔기와 만국기를 흔드는데, 이
모습
은 전 세계에 방영될 예정이다. 이 씨는 세계평화 퍼포먼스에 사용된 유엔기를 지구로 가져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통해 유엔에 전달할 예정이다. 유엔기는 유엔 사무국에 영구 전시된다.이 씨는 ISS에 도착한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04
찍기는 매우 어렵다. ISS 출현 시간과 위치, 미리 알 수 있어ISS가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모습
을 촬영하는 데는 준비물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 디지털 카메라와 삼각대와 릴리스만 있으면 충분하다. 하지만 초저녁이나 새벽에 하늘을 바라보며 무작정 기다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다행히 천문관련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04
암세포로 변하고, 안암과 자궁경부암을 일으킨다.조 교수는 Rb단백질이 활동하는
모습
을 방사광 가속기를 이용해 3차원으로 규명했다. Rb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는 원인은 외부 바이러스의 침입으로 추측되지만 아직 그 메커니즘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조 교수의 연구 덕분에 안암이나 ... ...
거꾸로 솟는 고드름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
비롯된 거라고요.”도무지 군의 얼굴에 불안한 기색이 스친다.“강이나 호수가 어는
모습
을 떠올려 보세요. 표면부터 얼기 시작하지요. 차가운 물은 뜨거운 물보다 무거워 가라앉기 마련인데 왜 아래부터 얼지 않을까요? 그건 물의 *밀도가 4℃일 때 가장 크기 때문이에요. 4℃ 아래에서는 오히려 ... ...
“아찔~!”지구로 다가온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
달 사이의 1.4배 정도니 꽤 가까이 접근했던 거죠. 한국천문연구원에서도 제가 지나가는
모습
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하더군요. 사진에서는 작은 점처럼 보이지만, 저는 가로 610m, 세로 150m로 길쭉한 형태로 꽤 크답니다.달보다 멀게 지나갔다니 다행이네요. 그런데 소행성이란 게 정확히 뭔가요?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