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11
나는지를 밝혀 비행체를 설계할 때 응용하려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케네스 브루너
박사
는 과일박쥐 비행을 컴퓨터모델로 만들었다. 박쥐가 날개를 펄럭일 때마다 레이저와 정교한 카메라로 그 동작을 빠짐없이 녹화했다. 항공공학 엔지니어인 데이비드 윌리스 교수는 과일박쥐의 두 날개 주변에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11
1981년 생쥐에서 처음 확립했고,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1998년 미국 위스콘신대 제임스 톰슨
박사
팀이 처음 보고했다. 이후 과학자들은 이 세포를 분화시켜 우리가 원하는 기능성 세포를 만드는 방법과 이 세포를 이식한 뒤 발생하는 면역거부반응을 극복하는 방법을 찾았다.2000년 호주의 연구자들은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11
실생활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를 터부시할 이유가 없었다는 게 박
박사
의 설명이다.경제 사정이 좋지 않은 미크로네시아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도 중요한 이유가 됐다. 흑진주는 지름 1cm짜리가 보통 40~50만 원이나 한다. 현재 미크로네시아의 생활 수준은 일용직 ... ...
2. 암모니아 합성 과정, 원자 수준에서 보는 고체표면화학
과학동아
l
200711
어느 날 저녁, 필자는 뮌헨대 도서관에 생맥주가 가득한 오크통과 맛있는 음식을 차렸다.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한 최종 시험 통과를 기념한 축하파티였다. 에르틀 교수의 연구실에는 학위를 받은 사람이 그날 저녁 음식과 맥주를 준비한 뒤 에르틀 교수와 연구실의 모든 구성원을 초대해 밤늦게까지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11
주저없이 ‘열린 태도’를 꼽는다.현재 다차원분광학연구단에는 석·
박사
과정생이 8명,
박사
후연구원 5명, 인턴연구원이 1명 있다. 혹시 생물학이나 물리학을 전공한 학생이 있는지 묻자 아직 100% 화학과 출신으로 채워져 있단다. 조 교수는 “물리학도는 생물학적 지식이 적고, 생물학도는 물리학과 ... ...
암흑물질 증거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은하단에서 암흑물질로 이뤄진 지름 260만 광년의 고리를 찾아 냈다고 발표했어요. 지
박사
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연구하고 있어요. 이 고리는 빛이 나지는 않지만 중력이 커서 빛이 고리 옆을 지나갈 때 휜다고 해요. 이 고리는 60억~70억 년 전쯤 은하단 두 개가 부딪히면서 만들어졌어요. ... ...
가장 오래된 고릴라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710
영장류가 분화된 시기도 변경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홍석
박사
는 “고릴라의 유전자는 아직 해독이 덜 됐고 유전자 조사와 화석 연대측정 방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조사 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화석 연대측정이 정확하다면 고릴라가 분화된 시기는 ... ...
게놈 속에 게놈 있다
과학동아
l
200710
유전자가 숙주의 것으로 바뀌어 새로운 기능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하토프
박사
는 “지금까지 진핵생물의 게놈에서 원핵생물인 박테리아의 염기서열이 발견될 경우 시료가 오염된 것으로 생각해 무시해왔다”며 “이번 발견으로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사이에는 유전자 교환이 없다는 ... ...
꿀벌의 '가출'이유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710
증세가 더 심각하기 때문에 IAPV가 CCD의 직접적인 원인인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립킨
박사
는 “벌집이 IAPV에 감염되면 이곳에 사는 벌은 96% 이상의 확률로 CCD를 일으킨다”며 “앞으로 IAPV를 건강한 벌에게 주입해 CCD와의 확실한 관계를 알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 ...
남자의 땀 냄새는 달콤할까, 구역질날까
과학동아
l
200710
아예 이 냄새를 맡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미국 록펠러대의 신경생물학자인 레슬리 보샬
박사
팀은 안드로스테론 냄새를 느끼게 하는 인간의 후각수용체를 발견해 9월 16일자 ‘네이처’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인간의 후각수용체 335개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66가지의 냄새에 반응하는 정도를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