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매클롱 강과 인간의 공생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법을 배운 이들이 앞으로 사회의 리더가 됐을 때 국가를 초월한 환경문제의 해법이 나오
길
기대해본다.제4회 에코마인즈한국 바이엘과 환경운동연합은 25세 미만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경대사를 선발해 국내?외 환경 프로그램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올해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961년에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성공하여 유전정보 해독에의 생화학적 접근의
길
을 열었다1964~65년에는 H G 코라나(Khorana)와 협력하여 64가지 트리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아미노산의 코드 배열을 결정했다이 업적으로 코라나, R W 홀리(Holley)와 함께 1968년에 노벨 ... ...
초록색 제국의 빛과 그림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매일 아침 한 손에는 커피잔을 든 채 밤새 있었던 따끈따끈한 뉴스를 훑어요. e메일과 블로그를 둘러보고 실시간 검색 순위도 확인하죠. 특별한 저녁 약속이 있는 날은 지식iN ... 자신의 분야에서 창의력을 원한다면 통섭적인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갑자기 새로운
길
이 보이는 듯하다 ... ...
미술관에 간 화학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Musee d’Orsay필자는 화학자다. ‘화학자가 웬 미술?’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미술은 화학에 의해 그 생명력이 유지되는 예술이다. 다른 예술 분야와 ... 때문이다. 화학이든 미술이든 결국 아름답고 창조적이며 우리 삶을 윤택하게 만든다는 점에서는 같은
길
을 걷고 있는 셈이다 ... ...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성능이나 가격을 따진다”고 말했다.그러나 몇 년 전부터 독특한 콘셉트의 디자인으로 눈
길
을 끄는 엘리베이터가 국내에도 등장하고 있다. W서울워커힐호텔에는 한번 보면 절대로 잊을 수 없는 독특한 엘리베이터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천장에 버스 손잡이 모양의 조명이 주렁주렁 매달려있는데,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때가 있다. 어떤 땐 나무 무늬나 벽지에 스민 빗자국에서 악마의 얼굴을 떠올리고는 불
길
한 징조라며 부적을 써 붙이거나 무당을 불러 굿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무늬를 보고 특정한 형체를 떠올리는 현상은 단순한 착시일 뿐이다. 영화 ‘메신저’의 팽 형제 감독도 검은색 그림자를 귀신으로 ... ...
영재들과 한강 철새가 만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된 연리지의 슬픈 사랑이 꼭 나와 헤라클레스님 같지 않니? 춘천 가 정리에서는 호박벌,
길
앞잡이, 모시나비 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지. 물론 아빠의 첫사랑 얘기가 더 재미있었지만 말야. 크크~.경기도다운이와 다운이 아빠가 포천 국립수목원에서 크낙새 구출 작전을 하고 온 뒤 혼이 쏙~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몸이 줄어들었다 늘어났다 할 수 있고, 황사 바람을 타고 둥둥 떠다녀야 하는 등 고생
길
이 훤~하므로 신청하기전 심사숙고하기 바람!5. 탐험 방법 : 책장을 넘기시오! 탐험일지 1황사찾아 사막가기책장을 넘긴 친구들은 모두 황사 탐험대! 황사가 뭐기에 해마다 봄이 되면 우릴 공포에 떨게 하는지 ... ...
명가의 숨은 명장 4人4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그는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현대그룹에 원서를 냈다. 그리고 원서에 현대중공업으로 가
길
희망한다고 적었다. 그렇게 배와 인연을 맺은 이 차장은‘육지 사나이’에서 순도 100% ‘바다 사나이’가 됐다. 5년 전 책임을 맡은 해양공사가 계기가 됐다. 당시 그에게 시추에 필요한 배관작업을 ... ...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구와 고를 호환해도 된다는 식으로 생각이 바뀌었다. 조선 최고의 수학자로 알려진 남병
길
(1820~1869)도 “구와 고는 서로 이름을 바꿔 부를 수 있다”고 말했다. 19세기 중반에야 구고의 원리를 피타고라스 정리와 동일한 기하학적 원리로 여기게 된 것이다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