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보이는 듯했다. “신소재공학을 공부해서 대학원에 갈 거예요. 그리고 KAIST 안에 있는
연구소
에서 열심히 연구하고 싶어요.” 이현종 군의 꿈을 응원한다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인류세라는 말은 폴 크루첸 독일 막스플랑크 화학
연구소
교수가 2002년 ‘네이처’ 기고에서 처음 사용했는데, 최근 정식으로 이 용어를 쓸 것인지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70억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처리할 수 있어야 해. 그래야 멈추지 않고 오래 걸을 수 있거든. 그래서 이 대회에는 대학
연구소
나 기업이 많이 참가해. 기술력을 자랑하는 수단인 거야. 우승한 사람은 스타가 되니 서로 좋은 거지.내가 올림푸스 몬즈를 좋아하는 건 절벽 때문이야. 아무리 중력이 지구의 3분의 1밖에 안 된다고 해도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크기가 작을 뿐 아니라 생물학적 연구도 많이 돼 있기 때문이다.[스위스 로잔연방기술
연구소
(EPFL)의 다리오 플로레아노 교수팀이 개발한 ‘메뚜기로봇’. 이 로봇은 생김새만 메뚜기를 닮았을 뿐 일반 로봇처럼 모터를 이용해 움직인다.]UC버클리의 론 피어링 교수팀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용해 전자기기나 광기기의 반도체로 사용할 예정이다.나노 밧줄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
연구소
연구팀은 기존 나노 소재를 꼬아 새로운 ‘나노 밧줄’을 만들었다. 밧줄의 지름은 600nm 정도이고, 단백질인 ‘콜라겐’의 모양을 흉내 냈다.나노 의약품얼키 루스라티 UC산타바바라 의대 교수팀은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중심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포스텍의 미래가 막스플랑크
연구소
에 고스란히 담겼다.점수에 연연 않고 선발된 학생이 미래 25주년 이끌 것한국연구재단 발표에 따르면 포스텍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109편이다. 대학교에서 발표한 전체 SCI 논문 대비 상위 1% 논문 비중이 1.64 ... ...
열대 과일이 주렁주렁~! 온난화 대비 농업 현장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언니, 드디어 우리가 취재할 때가 온 것 같아!우리가 사는 제주도에 농작물을 연구하는
연구소
가 있다고 하던데, 거기로 가 보자! 더워지는 한국,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라!잘 찾아 왔어요. 친구들이 본 신문 내용은 지구 온난화때문에 사과와 밤나무 같은 온대성 농작물이 자라는 곳이 점차 북쪽으로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안녕? 난 온 동네를 돌아다니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다슬이라고 해. 요즘 날씨가 추워져서 그림 그리기가 너무 힘들어. 그림을 그리기 힘든 추운 겨울은 내가 가장 싫어하는 계절이란다. 하지만 오늘도 색색의 크레파스를 들고 멋진 그림을 그리러 나왔어. 시린 손을 호호 불면서 그림을 그리고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아닌 이상 일부러 잡아서 연구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어요. 게다가 우리나라에는 고래
연구소
외에 고래 연구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어 인력 부족에도 시달리고 있지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우리 바다의 주인인 고래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연구하고 싶어요. 어과동 친구들도 많이 응원해 주세요 ... ...
고생대에 땅굴 건축가 동물이 살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중부 아르가나 분지에서 발견됐어요. 제 집을 발견한 독일 프라이베르크공대 지질학
연구소
의 과학자들은 저를 몸통 길이 20~25㎝ 정도의 몸집이 땅딸막하고, 목과 꼬리가 짧은 네 발 동물이라고 추정했지요. 땅굴의 형태와 규모를 보고 추측한 거예요.이번엔 네가 지은 집 얘기를 해 보자. 도대체 어떤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