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낮과 밤을 마음대로 바꾸는 유리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0억 분의 1) 굵기의 은을 이용했어요. 유리창에 말랑말랑한 재질의 투명 고무를 얹고 그 위에 짧은 길이의 은 실을 뿌렸답니다. 평소엔 은 실이 너무 가늘어 유리가 투명해 보여요.여기에 전기를 흘려 주면 은 실에 전기적 인력이 생겨 은 실끼리 서로 잡아당겨요. 이때 은 실이 투명 고무를 함께 ... ...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 또는 음모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지구가 공 모양이 아닌 편평한 원반 또는 주사위 같은 육면체라고 믿는다. 지구가 구가 아니라면 어떨까?영국 옥스퍼드대 인류미래연구소의 앤더스 샌드버그 교수는 만약 지구가 도넛 모양이라면 어떠할지 추측하는 연구를 했다. 그는 도넛 모양의 지구가 ... ...
- [수학동아클리닉] 큰 수 만들기 대회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시험이 끝나면 아이들의 몸과 마음은 한껏 풀어지기 마련이다. ‘한 시간 정도는 쉬게 해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담긴 아이들의 눈망울을 ... 보아도 계산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뜨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대회는 지수법칙을 활용하기 위해 애쓴 아이들을 칭찬하며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정확히 기록할 뿐만 아니라 어떤 동물이 어떤 방식으로 뼈를 훼손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같은 뼈를 몇 년 동안 추적 조사하기도 한다. 이런 연구는 뼈에 남은 훼손 흔적을 통해 동물의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 나아가 훼손한 동물의 종을 구분하려는 시도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모든 노력에 힘입어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만들어 낸 무지갯빛을 독자들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얇은 막의 위아래층에서 제각기 반사된 여러 파장의 빛이 서로 보강 또는 상쇄간섭을 일으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마찬가지로 광물도 표면에 얇은 결정막이 형성됐을 때 빛의 간섭현상이 일어난다. 사진 속 표본도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PSI 에너지환경 연구부 박사후연구원은 아예 “맛집은 포기하라”고 단언하더군요. 스위스가 전체적으로 음식 값이 비싸고 맛이 없어서 연구원들 대다수가 직접 점심 도시락을 만들어 먹는다고 합니다. 그래도 굳이 연구소 음식을 맛보고 싶은 분들은 연구소 안에 있는 식당을 추천합니다. 다른 ... ...
- [수학뉴스]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속한다는 사실을 증명했었습니다. 이번에는 화면을 좌표로 나눴을 때 슈퍼마리오의 위치와 시간의 관계를 계산해 NP-하드 문제보다 더 어려운 PSPACE에 속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입니다.어려운 문제라는 게 증명됐으니 이제 슈퍼마리오 게임을 잘 못한다고 해도 기죽을 필요는 없겠네요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눈썹, 광대, 입꼬리 등이 움직이고, 얼굴 위에 찍은 점의 위치가 달라지지요. 이때 얼굴 위 점의 좌표를 (x, y, z)로 나타내면 표정을 숫자의 나열인 행렬로 바꿀 수 있습니다. 무표정을 뜻하는 행렬에 수많은 표정 정보를 담은 행렬을 더하면 전에 없던 새로운 표정 행렬을 만들 수 있습니다.자연스러운 ... ...
- [수학동아클리닉] 공간 감각을 키우는 쌓기나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쌓기나무를 위, 앞, 옆에서 본 모양을 다룰 때 위에서 본 모양으로 1층의 모양을 알 수 있고, 앞이나 옆에서 본 모양은 가장 높은 층이 보인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다음 예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쌓기나무 대신 연결 큐브를 쓰면 모양이 더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체에서 주로 나온다. 만약 어떤 퀘이사의 회전축이 관측자를 향해 있다면 강착원반 위의 뜨거운 기체 구름이 관측자에게 고스란히 노출될 것이다. 동시에 폭이 넓은 방출선이 관측된다(타입1). 반대로, 회전축이 관측자와 비스듬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놓여 있다면 뜨거운 기체구름은 블랙홀을 감싼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