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지도 위 삐죽 솟은 부분이 변이 다양성을 표시한 그래프다. 다양한 영역에 변이가
존재
함을 알 수 있다. 진한 녹색으로 표시한 S라는 표시 영역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RNA 영역이며, 여기에 솟은 피크가 614번 아미노산 변이다(가운데). 아래는 D와 G614 변이를 계통별로 비교한 계통도다(아래). ... ...
대기 뺏겼나 원래 없었나…껍데기 없이 핵만 남은 행성 첫 관측
연합뉴스
l
2020.07.02
역부족인 것으로 설명했다. 암스트롱 박사는 "이번 관측 결과는 핵이 노출된 행성이
존재
한다는 점을 입증하고 이를 추적해 냈다"면서 "이를 통해 태양계에서 할 수 없는 방식으로 행성의 핵을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됐다"고 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독일의 과학엔 특별한 것이 있다
2020.07.02
몰아낸다면, 사원이 거의 비게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럼에도 진정한 과학 숭배자들이
존재
한다—이전 시대 사람 몇몇과 현시대 사람 몇몇. 우리의 플랑크가 바로 그 중 하나다. 이 때문에 우리가 그를 사랑한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 메르켈, 4차산업혁명, 그리고 독일의 과학기술사랑 ... ...
항체 보유율, 해외서는 어떻게 조사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사람들이 검사 대상이다. 영국에서는 보리스 존슨 총리가 ‘게임 체인저(판도를 바꿀
존재
)’라는 표현을 써가며 감염병에 맞서 사람들의 일상을 되돌려 놓을 '무기'로 기대감을 표시하고 나섰다. 영국은 항체 양성률을 조사하기 위해 의료계 종사자와 공무원 2500명을 모집하고 있다. 참가를 신청한 ... ...
거대한 뱀을 사냥한 개미
팝뉴스
l
2020.07.02
제공 정말 이게 가능할까? 거미 세계에서도 초능력을 가진 슈퍼 거미가
존재
하는 것일까? 거미 한 마리가 거대한 뱀을 잡았다. 뱀은 거미 몸의 100배는 될 덩치다. 사람으로치면 한 사람이 거대한 공룡을 때려 잡은 것이나 다름 없다. 사진은 호주에서 촬영되었다고 하는데, 거미의 슈퍼 ... ...
상어는 무서운 동물이다
팝뉴스
l
2020.07.01
검과 다르지 않다는 걸 사진에서 알 수 있다. 돌고래가 불쌍하다면 상어는 악한
존재
일까. 물론 아니다. 돌고래도 생명체를 잡아 먹어야 산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렘데시비르 투약 대상후보 33명'발병 10일 이내 폐렴 있는 산소치료 중증환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약 30% 단축시킬 수 있고, 비록 통계적 의미는 불명확하지만 치명률을 낮추는 효과도 약간
존재
하는 것으로 보고돼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코로나19 치료용으로 긴급사용승인을 한 치료제다.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특례수입을 결정해 질병관리본부가 길리어스사이언스 사와 국내도입을 ... ...
방역당국 "항체 조사 3000여 명 대상 진행 중…항체보유율 0.1%보도 사실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00여 건에 대한 0.1% 보도는 사실관계가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중화항체
존재
등 결과를 다 가지고 말씀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 대유행이 크게 일어났음에도 항체 보유율이 낮았던 해외 사례에 비춰 볼 때 국내 항체 보유율도 높지 않을 것으로 봤다. 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는 정말 총천연색을 보고 있을까
2020.06.30
캐롤린 로버트슨 교수팀은 시야 중심부와 주변부에 대한 주의력 차이가 대상의 형태나
존재
지각 여부뿐 아니라 색 지각 여부에도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시야 주변부의 색을 서서히 흑백으로 바꿀 때 사람들이 모를 수도 있지 않을까. 만일 그렇다면 그 범위는 어는 정도일까. ... ...
초저전력 전자소자 구현 길 열리나…‘스핀’ 난제 60년만에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한계가 있었다. 오른손을 감싸 쥘 때의 손가락 방향 회전을 측정했지만 이론적으로
존재
할 것으로 예측됐던 왼손 방향 회전을 규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계 방향인 왼손 방향 스핀 운동을 규명하면 스핀 제어가 가능해 초저전력 초고속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